대한불교청년회가 새 도로명 사업에 대해 민족전통문화를 말살하는 정책이라며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 대불청은 오늘(7월19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국민 정서와 문화재적 가치, 지역의 역사성을 고려하지 않는 새 도로명 주소 사업은 폐기돼야 한다”고 밝혔다.
대불청은 성명을 통해 도로명 사업이 2008년 국토해양부 교통지도에서 사찰이 삭제 된 연장선상 속에서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불청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도로명주소법으로 개정한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된 사업으로 4만 여 개의 동ㆍ리가 없어지게 된다”며 “5000년 민족의 삶과 혼이 깃든 지명이 사라지는 것은 문화의 단절 뿐 아니라 국민 모두가 고향을 잃은 처지에 놓이게 된다”고 비판했다.
이어 “문화재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특정한 의도성을 갖고 전통문화를 훼손하려고 한다는 의구심을 떨치지 않을 수 없다”며 “‘화계사길’‘보문사길’과 같은 멀쩡한 길을 없애고 연관도 없는 이름을 붙이려고 하는 사례가 셀 수 없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2009년 8월 전국 지자체에 시달한 도로명 주소 행정업무편람에 특정 종교시설을 사용한 도로명을 부적합한 것으로 분류했다”며 “아무리 불교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하루 아침에 없애려고 하는 것을 납득할 국민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일제 잔재 청산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국제 표준 기준에 맞추기 위해 시작한 도로명 주소 사업은 민족전통문화 말살 정책의 도구로 전락했다”며 “특정 의도를 갖고 전통문화를 말살하려는 반역사적 행위 세력에 대해 강력 대응할 것을 천명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