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새 도로명 주소 사업과 관련된 홍보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여전히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조계종이 새 도로명 주소 전면 무효화를 위한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조계종 관계자는 “지난 18일 부실장 간담회 자리에서 몇 가지 안이 있었지만 국회 법 재개정을 통해 도로명주소법을 폐기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중지를 모았다”며 “법령 폐기를 적극 추진해 새 주소 사업 시행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전국 4만60여 개의 동(洞)과 리(里) 지명을 살려낼 것”이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전통문화유산인 지명이 사라지는 것은 민족문화의 단절을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또 “자성과 쇄신 결사추진본부 내 종교평화위원회가 전담해 해결책을 내놓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조계종은 활동에 함께 뜻을 모을 이웃 종교계, 시민문화단체, 역사 및 지명 단체 등과도 연대해 활동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법령 찬.반 입장에 있는 전문가들을 한 자리에 모아 토론회를 열어 여론을 환기시키는 등 전국민운동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이번 새 주소 사업 시행으로 발생하는 비용은 어마어마할 것으로 보인다. 각종신분증 발급, 지도, 전산 등 정부와 개개인이 부담해야 할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불교계 단체들도 ‘지명되살리기’ 운동에 적극 나섰다. 서울 보문사는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와 함께 오는 8월3일부터 성북구청에서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소로 자리를 옮겨 보문사길 환원을 위한 집회를 이어간다.
대한불교청년회도 19일 성명을 발표하고 “국민 정서와 문화재적 가치, 지역의 역사성을 고려하지 않는 새 도로명 주소 사업은 폐기돼야 한다”며 “특정 의도를 갖고 전통문화를 말살하려는 반역사적 행위 세력에 대해 강력 대응할 것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불교신문 2738호/ 7월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