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포커스) 중앙신도회 산하기관-대불청 등 박영선 지지 선언-“문화재정책에 공감…국민경선 참여 조직적 전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청 작성일12-01-31 14:45 조회4,004회 댓글0건본문
| ||||||
문화재제자리찾기(대표 혜문)와 조계종 중앙신도회 문화재환수위원회, 문화재환수청년연대, 대한불교청년회 등은 지난 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의원과의 정책연대를 통해 지난해 박 의원이 발의한 국외문화재환수특별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당 대표 후보인 박 의원의 원만한 선출을 위해 국민참여선거인단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에는 박영선 국회의원과 문화재제자리찾기 대표 혜문스님, 조상왕실의궤환수위 운영위원장 법상스님, 손안식 조계종 중앙신도회 상임부회장(조선왕실의궤환수위원), 황채운 조계종 중앙신도회 부회장, 이상근 조계종 중앙신도회 사무총장(조선왕실의궤환수위 실행위원장), 정우식 대한불교청년회장, 이준호 문화재환수청년연대 단장 등이 참석했다. 손안식 상임부회장은 “박 의원이 대표 경선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며 “해외 약탈 문화재 환수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영선 의원은 지난해 국회에 ‘국외문화재환수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을 대표 발의했으며, 조선왕실의궤환수위원회 홍보대사로 활동한 공로를 인정받아 12월13일 조선왕실의궤환수기념 행사에서 감사패를 수여했다. 조계종 중앙신도회는 홈페이지의 ‘신도회 주요 소식’에서 “문화재제자리찾기를 비롯한 불교계는 국민참여선거인단 참가 조직과 지지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함은 물론 향후 ‘대책기구’ 구성 등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날 기자회견 이후 ‘불교계가 민주통합당 국민경선에 참여한다’는 기사가 잇따르자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자칫 불교의 정치참여로 읽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손안식 중앙신도회 상임부회장은 “그런 오해에 대해 걱정을 깊이 하고 있다”며 “문화재환수위 차원에서 문화재 환수운동에 앞장 서 온 박영선 의원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뜻에서 지지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지지운동은 지역별 문화재찾기 조직을 활용해 모바일 경선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정우식 대한불교청년회장은 “대불청 조직 차원의 지지는 아니다. 다만 그간 대불청이 민족문화수호사업에 앞장섰고, 문화재 환수운동과 정책에 공감했기 때문에 참여하게 됐다”며 “문화재 정책과 제도를 이끌기 위해서는 정치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지 않겠냐”고 설명했다. 이상근 중앙신도회 사무총장(조선왕실의궤환수위 실행위원장)은 “우려할 일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이상근 사무총장은 “취지에서 밝혔듯 문화재 환수운동을 하며 민간단체의 한계를 느꼈고, 이를 확대하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국회 내 특위 구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박영선 의원이 특위 구성을 발의했고 그런 연장선상에서 지지의사를 밝힌 것이다”고 말했다. 이 사무총장은 “불교계 전체가 국민참여경선에 참여한다는 것은 확대해석이다. 단체 차원의 정책연대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계종 중앙신도회는 2002년부터 불교 관련 정책을 제안하고 의원들과 연대해 관철시켜 왔다”며 “오히려 이런 활동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민주통합당이 당 지도부 선출을 위해 치르는 국민참여경선에는 7일까지 등록을 마친 일반시민 64만3353명과 당원 12만7920명 등 총 77만1273명이 선거인단으로 참여한다. 선거인단의 선택은 경선에 70%에 반영되는 만큼 당락에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