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닷컴) 법안 스님 “국정원 대변인 전화는 협박” > 언론에서 본 대한불청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알림

언론에서 본 대한불청

불교닷컴) 법안 스님 “국정원 대변인 전화는 협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청 작성일12-06-26 13:11 조회4,481회 댓글0건

본문

2012년 06월 25일 (월) 17:22:50 조현성 기자 btn_sendmail.gifcetana@gmail.com newsdaybox_dn.gif

배너

정부의 민간인 불법사찰에 대한 범국민적 대응을 위한 불교계의 서명운동이 전개된다.

조계종 불교계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공동위원장 대오ㆍ법광, 이하 비대위)는 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제2차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의했다.

회의에서는 비대위명을 ‘대한불교조계종 불교계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불교계ㆍ민간인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로 변경하는 것과, 실무위원회 구성 등을 결정했다.

비대위는 제1차 회의에서 위원을 6명에서 13명으로 늘리기로 했던 것을 15인으로 더 늘렸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대오(종회 사회분과위원장)ㆍ법광(사회부장) 스님을 공동위원장으로, 정묵 스님(종회 수석부의장), 법안 스님(종회 교육분과위원장), 능도 스님(기획실장), 혜용 스님(종교평화위원장), 경륜 스님(전국비구니회 총무부장), 조계사 도문 스님, 봉은사 진화 스님, 중앙신도회 손안식 부회장, 대한불교청년회 정우식 회장, 불교시민사회네트워크 정웅기 사무총장, 전국불교시민연대 유정희 대표, 대학생불교연합회 최경환 회장, 조계종 포교사단 임희웅 단장으로 구성됐다.

비대위는 간사 겸 대변인으로 정우식 대불청 회장을 선출했다. 또, 효율적인 활동을 위해 실무위원회를 설치하고 사회국장 묘장 스님과 정우식 회장을 실무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실무위원에는 사회부 차ㆍ팀장, 종회 사무처 팀장, 조계사ㆍ봉은사 종무실장, 기획실 대외협력팀장, 정웅기 불씨넷 사무총장을 뽑았다.

   
▲ 불교계 민간인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 제2차 회의 모습.

 

대오 스님 “내 핸드폰 도청되는 듯”
대오 스님은 모두 발언에서 “요즘 내 핸드폰이 도청되는 것 같다. 비대위원장이 되니까 사찰(흥국사)에 정보원도 파견되더라. 그러나 나는 꿀릴 것이 없으니 괜찮다”고 말했다.

이어 스님은 “지난주 새누리당ㆍ민주당을 방문해 보니 민주당이 과거에 비해 많이 약해진 것 같다. 불법사찰이 대통령을 하야시킬 중대한 사안임에도 민주당은 대규모 집회를 열자는 등 불교계에 의지하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법안 스님은 “새누리당은 정부의 사찰에 대해 2000년부터 조사하자는 주장을 해 공무원사찰을 민간인사찰로 물타기 하는 것으로 비춰진다. 새누리당을 다시 방문해 2008년 6월부터 2010년으로 기간을 정해 국정조사를 하라고 촉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웅기 불씨넷 사무총장은 “비대위 활동의 기본 방향이 잘 잡혔다”며 “불교계에 한정된 범위를 넓히기 위해 이웃종교계, 인권단체, 정치권 등과 연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위원장 대오 스님은 간사 정우식 회장에게 이웃종교의 불법사찰 피해 사례 등을 조사해 연대방안을 모색할 것을 지시했다.

회의에서는 검찰이 수사 중인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불법사찰 외에 ‘주간한국’ 기사로 불거진 국정원의 불법사찰 의혹에 대한 성토도 이어졌다.

정웅기 사무총장이 “국정원에서 불씨넷에 대해 사법대응을 검토중이라고 했다”고 말을 꺼냈다.
법안 스님은 “국정원이 국내 정보 취합을 어느 선까지 가능한지 국정원법 개정을 요청해야 한다”며 “대선을 앞두고 국정원이 본연의 임무로 돌아가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불교계 민간인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대오 스님은 "불법사찰 문제는 지관 스님에 대한 불법사찰로 문제가 불거진 만큼 국무총리실과 검찰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진 스님 “국정원 대변인이라는데 어떻게 아나”
조계사 호법위원장 성진 스님은 22일 국정원 대변인과의 전화통화 내용을 공개했다.

성진 스님은 “국정원 대변인이 ‘오해를 풀고 싶다, 해명해 달라’며 전화가 왔다. ‘최근 불교닷컴과 국정원 직원이 접촉한 것은 주간한국 관련한 불씨넷 성명서가 불교닷컴에 게재돼 사실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함이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스님은 “(국정원 대변인은) ‘국정원은 불교닷컴과 최근 정부와 불교계 소통이 원활하지 않자 자문을 구하기 위해 불교닷컴을 여러 번 만났다. 이를 해명하는 차원에서 밝혀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국정원은 주간한국에 정보를 준 적이 없다. 국정원이 주간한국으로부터 사과를 받았고,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해 정정보도를 요청하는 한편, 필요시 소송하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성진 스님은 “국정원에서 근래 연락 온 것에 대해 단위사찰인 조계사에서는 (전화온 사람이 국정원) 대변인인지 아닌지도 확인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법안 스님은 “국정원 대변인이 맞냐”고 물었고, 정웅기 사무총장은 “xxx씨는 국정원 대변인이 맞다”고 확인해 줬다.

법안 스님은 “(국정원) 대변인이 그렇게 한가한가?”라며 “대변인이 그렇게 전화한 것 자체가 협박”이라고 강조했다.

   
▲ 법안 스님(가운데)은 "국정원이 본연의 임무로 돌아가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법안 스님 “불법사찰의 정점은 국정원”
스님은 “(불교계) 내부에서 국정원에 투서하는 경우도 있지만, 민간인 불법사찰의 정점은 국정원”이라며 “다시는 (국정원이) 불법사찰을 못하게 하는 것이 (비대위의) 목표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정웅기 사무총장은 “불법사찰에 관한 진상조사는 광범위하게 하되 국정원을 타겟으로 할 것인지는 추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대오 스님은 “불교계가 불법사찰에 반발하기 시작한 것은 국무총리실에서 지관 스님을 사찰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국정원까지 범위를 넓히면 초점이 흐려진다”고 우려했다.

스님은 “비대위 활동의 주대상은 (지관 스님 등을 불법사찰한)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검찰에 수사결과를 제대로 공개하도록 압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정희 대표 “기관원 사찰출입 금지 지역서 반발 커”
유정희 대표는 “종단의 인식이 부족하다. 불법사찰이 심각한 문제라면 긴급교구본사주지협의회 소집 등을 했어야 했다”며 “지역에서는 종단 사태를 회피하려고 문제를 키우고 있다며 불법사찰을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지역에서는 ‘불사해야 하는데 기관원 출입을 막으면 어떻게 하느냐’ 등 총무원 조치에 반발하는 목소리도 있다”고 전했다.

법안 스님은 “불사하겠다는 스님도 뒷조사 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관원들이) 갖고 노는 실체를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우식 회장은 “불법사찰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국사찰 현수막 게시 ▷홍보 동영상 활용 ▷국정조사ㆍ특별법 제정 촉구 100만인 서명운동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비대위는 실무위원회에서 서명운동을 긍정적으로 검토키로 결의했다.

불교계ㆍ민간인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의 제3차 회의는 다음달 2일 오후 2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열린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