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가 비대위 위원을 추가 영입하고 실무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조직을 확대했다. ‘대한불교조계종 불교계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불교계.민간인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에 조속한 국정조사를 실시하라는 공문을 재차 전달하고, ‘민간인 불법사찰 방지 특별법(가칭)’ 제정을 요구하는 추가 방문에 대해 검토했다. 조만간 대규모 서명운동도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타 종교계와 시민사회단체와의 연대활동을 모색한다.

   
불교계ㆍ민간인 불법사찰 비대위는 6월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2차 회의를 열었다.
비대위(공동위원장 대오, 법광스님)는 지난 6월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2차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비대위는 불법사찰 진실규명을 위해 향후 활동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비대위는 이날 실무위원회를 꾸려 광범위하게 벌어진 불법사찰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실무위원장에 사회국장 묘장스님과 정우식 대한불교청년회장을, 실무위원에 사회부 차장 및 팀장, 중앙종회 사무처 팀장, 대외협력팀장, 조계사 종무실장, 봉은사 종무실장, 정웅기 불교시민사회네트워크 집행위원장 등으로 구성했다.

또 위원회 인원을 13명에서 15명으로 늘리기로 의견을 모았다. 대외 언론 담당은 정우식 대불청 회장이 맡기로 했다.

이날 <주간한국>이 입수했다는 정보기관의 보고서 부분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는 국정원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조계사 호법위원회 위원장 성진스님은 “최근 국정원 대변인으로부터 불교닷컴과의 접촉은 정부와 불교계와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 만난 것일 뿐 오해를 풀어달라는 연락을 받았다”며 “종단이나 사회부 등 정식 기구를 통해 밝히는 것이 맞다”고 지적했다. 

법안스님도 “민간인 불법사찰 핵심은 국정원”이라며 “문제를 제대로 파악해 국정원법 개정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에 대해 국무총리실 산하 공직자윤리지원관실의 불법행위에 초점을 두 돼, 추후 국정원과 관련된 대응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7월 말까지 불교계 불법사찰 사례에 대해 공개 접수한다. 방법은 홈페이지(www.buddhism.or. kr)나 이메일(1998060801@budd hism.or.kr) 등을 통해 하면 된다.

비대위는 7월2일 오후2시 제3차 회의를 갖고 대응방안과 활동을 논의한다.  
 

■ 비대위원장 대오스님

“정확한 진상 밝히고 책임 반드시 묻겠다”

   
 
“국무총리실 공직자윤리지원관실의 불법사찰에 대한 진실규명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합니다.”

지난 6월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불교계 불법사찰 비상대책위원회 2차 회의에서 위원장 대오스님(종회 사회분과위원장.사진)은 이같이 강조했다.

대오스님은 이날 “조계종 전 총무원장인 지관스님을 불법사찰 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문제가 불거졌다”며 “국정조사를 통해 불법사찰의 정확한 진상을 밝히고 그에 따른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님은 이어 “정부의 비도적적이고 정직하지 못한 행위에 강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검찰을 압박해 자료를 공개하도록 하는 한편 불법사찰을 근절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불교신문 2828호/ 6월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