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신문)“MB정부는 종교편향 미디어정책 철회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한불교청년회 작성일12-12-04 10:41 조회3,721회 댓글0건본문
데스크승인 2012.08.23 14:42:17 | 하정은 기자 | tomato77@ibulgyo.com |

불교방송 임직원 100여명은 지난 20일 서울 세종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종교편향 미디어정책을 즉각 철회하라”며 공영미디어렙 지정을 촉구하는 정진법회를 봉행했다.
“불교방송을 민영 미디어렙에 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정책은 우리 사회에서 두고두고 종교편향 논란을 불러일으킬 중대한 사안이다. 불교방송이 우리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1600년 불교문화를 지키는 미디어로 발전할 수 있도록 방통위의 결합판매 고시 제정안 변경을 강력히 촉구한다.”
불교방송(사장 이채원)은 지난 20일 서울 세종대로 방송통신위원회 청사 앞에서 ‘불교방송의 공영 미디어렙 지정을 촉구하는 정진법회’를 갖고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100여명의 임.직원들은 삼귀의 반야심경 봉독에 이어 노동조합 이현용 기자가 대표로 낭독한 성명을 통해 “불교방송을 민영렙으로 지정한 방통위의 입법예고는 법률적 근거가 없는 전형적인 행정 편의주의의 산물로써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며 “불교방송이 가진 종교방송 특성을 완전히 무시한 방통위의 정책은 ‘종교편향적 정책’으로 규정한다”고 밝혔다. 홍성규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8월20일 방송통신위 청사에서 정진법회 열고 성명서 발표
“종교차별 논란 없애기 위해
종교방송은 같은 미디어렙에 묶어야 한다”고 주장
성명에서 “홍성규 부위원장은 최근 불교방송을 방문한 자리에서 SBS민영렙이 광고매출 증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기 때문에 불교방송이 SBS민영렙과 결합판매될 때 유리하다고 강조했지만 이는 사실관계를 호도한 것”이라며 “SBS를 믿고 민영렙으로 가라는 방통위는 국민을 위해 있는 정부기관인지, 민영 방송사를 위해 존재하는 기구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성명은 또 “방통위는 종교차별 논란을 없애기 위해서, 종교간 평화적 공존을 위해서도 종교방송들을 같은 미디어렙에 묶어야 한다”고 촉구하고, “방통위는 광고시장만 보는 근시안적 안목에서 벗어나 우리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지키는 역사적 시각으로 정책에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법회에는 종회의원 주경스님(종교차별종식 및 종교평화 확립을 위한 특위 위원장)과 정우식 대한불교청년회장, 이세용 조계사 종무실장 등도 참석, 찬조연설을 통해 불교방송의 공영미디어렙 지정을 촉구했다. 불교방송 김봉래 기획관리국장과 조문배 사회부장은 정진법회에 이어서 김경만 방송통신위원장 비서관에게 불교방송 임.직원 일동 명의의 성명서를 전달했다.
정부는 지난 7월 미디어렙법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방송광고결합판매지원고시안’을 발표하고 행정예고한 바 있다.
고시안에 따라 기독교방송은 공영미디어렙인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로 지정된 반면, 불교방송은 민영미디어렙인 SBS미디어크리에이트로 지정되자, 불교방송은 방통위의 종교편향과 잘못된 미디어정책 등을 문제삼고 있으며, 9월 중 방통위의 규제심사가 마무리될때까지 고시 제정안 변경을 촉구할 방침으로 움직이고 있다.
[불교신문 2842호/ 8월25일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