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BBS 뉴스 이노베이션(매일 오후 6시 20분-7시)
□출연자-이길수 대한불교청년회 제33대 중앙회장 당선자
□방송 일시-12월 25일(수) 저녁 6시 20분-7시(라디오)+유튜브 보이는 라디오)

![]() |
안녕하십니까 ? 오늘은 이웃종교의 최대 명절 크리스마스입니다.
크리스마스를 맞아 불교계는 아기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고 조계사 등 사찰에 크리스마스 트리를 설치하는 등 종교간 화합의 의미를 되새겼는데요.
하지만 우리 사회의 갈등과 대립은 이미 위험 수위에 이르렀고 대통령 비상계엄 사태로 국민들은 큰 혼란에 빠져있고 나라가 위태로운 지경에 빠져있는 상항입니다.
대통령의 갑작스런 계엄 선포와 국회의 해제 결의, 그리고 대통령 탄핵안 국회 통과까지 올해 12월은 온통 혼돈과 불안의 연속이었습니다.
아직도 이 어수선한 상황이 끝난게 아닙니다. 헌법재판소의 최종 판결이 남아 있습니다.
계엄을 단행한 대통령을 탄핵하자는 표결에 반대한 국회의원 표도 85표가 있었습니다.
우리 경제 상황도 녹록치 않습니다. 반도체·자동차 수출 전망엔 먹구름이 끼었습니다.
이런 어수선한 상황에서 우리는 정신을 바짝 차려야겠습니다.
오늘은 특집 대담으로 독립운동가이자 민족 지도자였던 만해스님의 뜻을 받들어 창립된 대한불교청년회의 새 회장으로 당선된 이길수 차기 회장을 초대했습니다.
질문 1.안녕하십니까 ? 제33대 대한불교청년회 중앙회장이신데 임기는 내년 1월 1일부터죠 ?
창립 104주년이 된 대한불교청년회는 1920년 일제강점기 만해스님을 중심으로 모인 청년들이 설립한‘조선불교청년회’가 시초인데요. 설립 배경, 활동 목적, 취지는 어떻게 되는지 먼저 소개해주시죠.
질문 2. 대한불교청년회는 한국 불교의 허리라고도 하는데 예전에는 100여 개의 지회가 있었고 20만 불자들의 조직이라고 했지만 지금은 청년불자들이 많이 줄어들어 있어서 그 정도의 규모는 아니지 않습니까 ?
질문 3. 지난달에 제33대 회장에 당선되셨는데 단독 입후보하지 않았습니까 ? 회장을 해야겠디고 결심한 이유가 있었습니까 ?
질문 4.법명이 현성이고 조계사 청년회장, 대불청 부회장 등을 지냈는데요. 불교와 처음에 어떻게 인연을 맺게 됐습니까 ?
질문 5.조계사 청년회 시절에는 소리마루 합창단, 불화반동아리 등을 창단했는데요. 그때 어떤 활동을 했습니까 ?

질문 6. 이번에 내세운 공약을 보면 대불청 조직화가 눈에 띕니다. 지회와 지구, 지구와 중앙이 함께 할 수 있는 일들을 찾겠다고 했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
질문 7.청년불자, 대중들의 눈높이에 맞는 불교문화 콘텐츠 개발도 공약으로 제시했는데요. 구체적인 복안은 갖고 계신지요 ?
질문 8.미디어 홍보 확대도 공약으로 제시했는데요. 어떤 방법으로 홍보를 확대할 계획인가요 ?
질문 9.전국 최대 규모의 가장 권위 있는 백일장으로 여겨지는 대회가 만해 백일장으로 대통령상이 주어지는데요 내년에 45회째입니다. 백담사 만해마을에서도 백일장이 있긴 한데 대불청의 만해 백일장, 위상을 더욱 끌어올리기 위한 계획이 있나요 ?
질문 10.대불청은 잘못된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한 노력도 해왔는데요. ‘역사 바로 알기 TF팀’을 구성해 여주 주어사, 광주 천진암의 호국 불교 정신을 기리고 천주교의 이웃종교의 성지화에 대해 대응해왔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할 생각입니까 ?
질문 11.‘사찰문화해설사’ 양성 프로그램도 진행해왔고 자격증 과정도 개설했는데 이 것은 어떻게 이어나가게 됩니까 ?
질문 12.폐사지 지킴이 운동도 그동안 해왔는데요. 새해에도 계속해나갈 계획인가요 ?
질문 13.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이주민들에게 한국 불교를 알려나가는 일도 매우 중요해졌는데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요 ?

질문 14.IBYE,국제불교청소년교환캠프를 대불청이 열기로 했다가 새만금 세계 잼버리 대회의 파행 운영 등의 여파로 결국 제대로 열지 못했는데 이 문제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
질문 15. 불교문화엑스포가 이제는 서울 뿐만 아니라 부산,대구 등에서 잇따라 열리고 있는데요. 대불청도 부스를 마련하는 등 참여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 ? 어떤 활용 방안을 갖고 계십니까 ?
질문 16.대불청의 지도법사단이 조직돼 있는데요. 스님들이 많이 동참하고 계시지만 좀더 실효성있게 실제적으로 운영해내갈 생각이 있으신지요 ?
질문 17. 회장께서도 이제는 청년을 지나 장년이기는 합니다만 청년 대학생 포교 활성화가 우리 시대의 화두가 됐습니다. 어떤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
질문 18.요즘 정국이 아주 어수선합니다, 파사현정의 자세가 필요하다는 주문이 많은데
이럴 때 우리 불자들은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를 갖는게 좋을까요 ?
질문 19.건축사 사무소 혜연의 대표이신데 건축 일은 어떻게 생업으로 삼게 된 건가요 ?
[클로징]
네 이제 2024년 갑진년도 6일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나라를 뒤흔든 일들이 참 많았는데요. 훌훌 털도 다시 앞으로 나가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남은 연말 잘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