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만해 한용운 대선사 연구자료 총목록 현황 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진창호 작성일11-09-01 11:36 조회4,451회 댓글0건첨부파일
-
만해 연구자료 총목록 11.8.30.hwp (99.0K) 16회 다운로드 DATE : 2011-09-01 22:13:35
본문
만해 한용운 대선사 연구자료 총목록
자료 발췌 : 백담사 만해마을
자료 정리 : 대한불교청년회
기준 일자 : 2011년 8월 31일
자료 현황 : - 1차 문헌 (92점)
- 학위 논문 (104점)
- 논문 및 저서 (669점)
♠ 1차 문헌
한용운<조선불교유신론>불교회관, 1913.
---<불교대전>홍법원, 1914.
---<정선강의 채근담>동양서원, 1917.
---<현담주해>법보회, 1925.
---<님의 침묵>회동서관, 1926.
---<님의 침묵>한성도서, 1934.
---<님의 침묵>한성도서, 1950.
---<님의 침묵>진명문화, 1950.
---<님의 침묵>한성도서, 1952.
---<님의 침묵>한성도서, 1953.
---<님의 침묵>이준범 편, 정연사, 1966.
---<님의 침묵>향원 편, 문창사, 1971.
---<님의 침묵>진명문화사, 1972.
---<님의 침묵>서경수 편역, 삼성문화재단, 1972.
---<님의 침묵>정음사, 1973.
---<한용운 전집>신구문화사, 1973.
---<님의 침묵>을유문화사, 1974.
---<님의 침묵·속(續)님의 침묵>을유문화사, 1974.
---<만해선생시집>대동문화연구원 편, 보련각, 1975.
---<님의 침묵>삼중당, 1975.
---<님의 침묵>서림문화사, 1977.
---<님의 침묵>문화공론사, 1977.
---<님의 침묵>동서문화사,1977.
---<님의 침묵>만회사상연구회 편, 민족사, 1980.
---<님의 침묵>혜원출핀사, 1980.
---<님의 침묵>민음사, 1980.
---<님의 침묵>혜림출판사, 1982.
---<님의 침묵>문공사, 1982.
---<님의 침묵>마당, 1982.
---<님의 침묵>삼중당, 1983.
---<님의 침묵>정음문화사, 1983.
---<님의 침묵>범우사, 1983.
---<님의 침묵>정음사, 1983.
---<님의 침묵>우리극단마당 편, 정음사, 1984.
---<님의 침묵>동서문화사, 1984.
---<님의 침묵>서경수 편역, 삼성미술문화재단출판부, 1984.
---<님의 침묵>민족문화사, 1985.
---<님의 침묵>문지사, 1985.
---<님의 침묵>덕우출판사, 1985.
---<님의 침묵>한미출판사, 1986.
---<님의 침묵>양우당, 1986.
---<님의 침묵>명지사, 1986.
---<님의 침묵>청목사, 1986.
---<님의 침묵>자유문학사, 1987.
---<님의 침묵>민중서각, 1987.
---<님의 침묵>문장, 1987.
---<님의 침묵>한국학연구소, 1987.
---<님의 침묵>오성출판사, 1987
---<님의 침묵>학원사, 1987.
---<님의 침묵>열음사, 1988.
---<님의 침묵>풍림출판사, 1989.
---<한용운 시전집>정해렴 편, 현대실학사, 1991.
---<님의 침묵>상아, 1991.
---<님의 침묵>서문당, 1993.
---<님의 침묵>범우사, 1993.
---<님의 침묵>신구미디어, 1993.
---<님의 침묵>을유문화사, 1994.
---<님의 침묵>학원사, 1994.
---<님의 침묵>시와시학사, 1996.
---<님의 침묵>소담출판사, 1996.
---<님의 침묵>상아, 1996.
---<님의 침묵>인문출판사, 1996.
---<님의 침묵>전보삼 편, 수창출판사, 1996.
---<한용운 님의 침묵>한계전 편, 서울대 출판부, 1996.
---<님의 침묵>혜원출판사, 1997.
---<님의 침묵>세손, 1997.
---<님의 침묵>선영사, 1997.
---<님의 침묵>동해, 1997.
---<님의 침묵>하서출판사, 1998.
---<한용운 시전집>만해사상실천선양회 편, 장승, 1998.
---<님의 침묵>신라출판사, 1999.
---<님의 침묵>문학과현실사, 1999.
---<님의 침묵>태학당출판사, 1999.
---<님의 침묵>동해, 1999.
---<님의 침묵>고은 편, 민음사, 1999.
---<님의 침묵>한국근대시인총서 2, 동서문화원 편저, 한국인문과학원, 1999.
---<만해 한용운 한시선>서정주 편, 민음사, 1999.
---<만해 한용운 논설집>만해사상실천선양회 편, 장승,2000.
---<님의 침묵>노벨, 2001.
---<님의 침묵>미래사, 2002.
---<님의 침묵>청목사, 2002.
---<님의 침묵>황금북, 2002.
---<님의 침묵>범우사, 2002.
---<님의 침묵>청동거울, 2002.
---<흑풍>상·하, 사랑과 나무, 2002.
---<한용운 작품선집>서준섭 편, 강원대 출판부, 2003.
---<님의 침묵>작가문화, 2003.
---<님의 침묵>책만드는집, 2003.
---<님의 침묵>미래사, 2003.
---<님의 침묵>열린책들, 2004.
---<님의 沈黙 번역시선 Selected Poems From the silence of My Love>김재홍 편/ 장경렬·박종소·유형규·이가림·박정순·테레사 현 옮김, 만해학술원,2005.
♠ 학위 논문
김재홍<한국현대시의 방법론적 연구> 서울대 석사 논문, 1972. 2.
엄창섭<‘님의 침묵’에 표현된 만해의 시세계>경희대 교육대학원 논문,1973. 6.
최동호<만해 한용운 연구-그의 시적 변모를 중심으로>고려대 대학원 논문, 1975.
김몽학<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불교사상의 고찰>동아대 교육대학원 논문, 1975. 2.
유광렬<한용운 시의 형성 과정과 특이성>중앙대 대학원 논문, 1975. 12.
박정환<만해 한용운론>충남대 대학원 논문, 1976. 2.
김진국<한용운 문학의 현상학적 연구>서강대 대학원 논문, 1976. 2.
송명희<한용운 시의 연구>고려대 교육대학원 논문,1977. 2.
이인복<>숙명여대 박사 논문, 1978. 8.
이양순<한>이화여대 대학원 논문, 1978. 12.
윤영천<1920년대시의 현실인식>서울대 석사 논문, 1980. 2.
도모 나까노리<한용운의 ‘님의 침묵’ 연구>숙명여대 석사 논문, 1980. 9.
조정환<한용운 시의 역설연구>서울대 석사 논문, 1982.
김재홍<한용운문학의 연구>서울대 박사 논문, 1982. 2.
김현자<김소월, 한용운 시에 나타난 상상력의 변형구조>이화여대 박사 논문, 1982. 2.
석숙희<김소월, 한용운 시의 비교연구>충북대 석사 논문, 1982. 2.
손창대<한용운의 자유사상에 관한 연구>건국대 석사 논문, 1982. 2.
이근철<한용운의 윤리 사상>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82 8.
신상철<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님’의 연구>동아대 박사 논문, 1983. 2.
이상천<한용운의 사회사상에 관한 고찰>서울대 석사 논문, 1983. 2.
김종연<한용운의 자주정신에 관한 연구>한양대 교육대학원 논문, 1983. 8.
오재용<만해 한용운 영구>충남대 석사 논문, 1983.
정홍배<만해 한용운의 사상성 고찰>조선대 석사 논문, 1983.
유근조<소월과 만해시의 대비 연구>단국대 박사 논문, 1984. 2.
육근웅<만해시에 나타난 선어적 전통>한양대 석사 논문, 1984. 2.
윤재근<만해시 ‘님의 침묵’ 연구>경희대 박사 논문, 1984. 2.
전보삼<한용운의 화엄사상연구>한양대 교육대학원 논문, 1984. 2.
김춘남<양계초를 통한 만해의 서구사상수용>동국대 석사 논문, 1984.
채수영<한용운에 있어서 님의 거리>동국대 석사 논문, 1984.
김정칠<한용운의 독립사상 연구>경희대 석사 논문, 1985.
박종린<만해 한용운의 불교개혁사상 연구>동국대 석사 논문, 1985.
이해진<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대한 한 고찰>인하대 석사 논문, 1985.
현선식<만해시에 나타난 심리 연구>조선대 석사 논문, 1985. 2.
정복선<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순환구조>성신여대 석사 논문, 1986.
한창엽<만해 한용운 연구>한양대 석사 논문, 1986.
이영희<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삶의 인식방법 연구>경희대 박사 논문, 1987.8.30.
현명선<한용운의 ‘님의 침묵’연구>연세대 석사 논문, 1987.
원인숙<만해 한용운 시에 있어서 공간과 시간의식>성균관대 석사 논문, 1987.
김석태<한용운의 ‘님의 침묵’연구>연세대 석사 논문, 1988.
김미선<한용운의 한시연구>청주대 석사 논문, 1989.
강미자<한용운의 시대인식에 관한 일고찰: ‘조선불교유신론’·‘조선독립의 서’를 중심으로>경상대 석사 논문, 1990.2.
김선학<한국 현대시의 시공간적에 관한 연구>동국대 박사 논문, 1990.2.
이병도<구조주의 문학관과 불교 중관론의 대비:‘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경희대 석사 논문, 1990.2.
한면희<한용운 시의 수사적 특징 고찰>서울시립대 석사 논문, 1991
권기현<용성의 대각교운동과 만해의 불교유신운동 비교연구>동국대 석사 논문, 1991.2.
기우조<한용운 시의 수사적 특징 고찰>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1.2.
김광길<만해 한용운 시의 존재론적 해명>경기대 박사 논문, 1991.2.
박정환<만해 한용운 한시 연구>충남대 박사 논문, 1991.2.
윤석성<한용운 시의 정조 연구>동국대 박사 논문, 1991.2.
임정채<한용운시의 상징성>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1.2.
허 탁<만해시의 기호학적 연구>부산대 박사 논문, 1991.2.
김미애<한용운 소설 연구>효성여대 석사 논문, 1991.8.
양영길<‘님의 침묵’의 구조 연구>제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1.8.
조정행<소월과 만해 대비연구: 님과 죽음을 중심으로>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1.8.
김광원<한용운의 선시 연구>원광대 석사 논문, 1992.2.
서호천<만해사상의 회통적 조명: 사사무애관을 중심으로>동국대 석사 논문, 1992.2.
신달자<소월과 만해시의 여성지향 연구>숙명여대 박사 논문, 1992.2.
최성은<만해 한용운 시 연구>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2.2.
신선우<만해 한용운 문학의 연구:‘님의 침묵’을 중심으로>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2.8.
박용모<‘님의 침묵’의 사상적 배경 고찰>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3.2.
정하심<한용운 시에 나타난 전통과 선사상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 석사 논문, 1993.2.
노윤옥<만해시에 나타난 시간의식 연구: 시집‘님의 침묵’을 중심으로>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1993.8.
강예자<만해 한용운 시 연구: 시에 나타난 역설적 표현을 중심으로 >경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4.2.
서재영<만해 한용운의‘조선불교유신론’연구 >동국대 석사 논문,1994.2.
염창권<한국 현대시의 공간구조와 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한국교원대 박사 논문, 1994.2.
최태호<만해·지훈의 한시 연구>한국외국어대 박사 논문, 1994.2.
이경교<한국 현대 시정신의 형성과정 연구: 한용운, 이육사, 그리고 이상을 중심으로>동국대 박사 논문, 1995.2.
박지순<님의 침묵 연구: 이원적 순환을 통한 한의 초극>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5.8.
임성조<한용운 시의 선해석적 연구>연세대 박사 논문, 1995.8.
김광원<만해 한용운 시 연구>원광대 박사 논문, 1996.2.
김형준<만해 한용운 시의 여성편향성 연구>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1996.2.
노귀남<한용운 시의 ‘상’ 연구: 시집‘님의 침묵’을 중심으로>경희대 박사 논문, 1996.2.
이병석<만해시에서의‘님’의 불교적 연구>동아대 박사 논문, 1996.2.
이혜원<한용운·김소월 시의 비유구조와 욕망의 존재방식>고려대 박사 논문, 1996.
유영학<만해 한용운의 불교유신사상 연구>원광대 박사 논문, 1997.
홍필기<한용운 시의 님과 여성성 연구>충북대 석사 논문, 1997.
정성현<만해 한용운시 연구>중앙대 석사 논문, 1997.
신현락<한국 현대시의 자연관 연구>한구교원대 박사 논문,1998.
이호미<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여성적 연구>효성가톨릭대 석사 논문,1998.
김덕근<한국 현대 선시 연구>청주대 박사 논문,1999.
박명자<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동국대 석사 논문,1999.
이성원<만해 한용운의 불교사상 연구>영남대 석사 논문,1999.
이선이<만해시의 생명사상 연구>경희대 박사 논문,1999.2.
배영애<현대시에 나타난 불교의식연구>숙명여대 박사 논문,1999.
정윤열<만해 시의 ‘님’에 대한 연구>동국대 석사 논문,1999.
오성칠<한용운의 소설문학 연구>중앙대 석사 논문,1999.
강기욱<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조선대 석사 논문,2000.
선효원<한용운·김광균 시의 대비연구>동아대 박사 논문,2000.
현광석<한국 현대 선시 연구>경희대 석사 논문,2000.
홍정애<만해 한용운 한시 연구>국민대 석사 논문,2000.
Mark J. Sweetin, Non-substantiality and the seeds of contemplation in Han Yong-un's Nim ui Ch'immuk, 연세대 석사 논문, 2000.
최규현<한용운 시의 연구>서남대 석사 논문,2001.
권석창<한국 근대시의 현실대응 양상 연구-만해, 상화, 육사, 동주를 중심으로>대구대 박사 논문,2002.
장석문<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강원대 석사 논문,2002.
김정태<님 지향성과 여성편향성-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건국대 석사 논문,2002.
이양우<님의 침묵을 사상적 배경연구>동국대 석사 논문,2002.
유은하<한용운과 윤동주의 시 비교 연구>고려대 석사 논문,2003.
강경애<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한남대 석사 논문,2003.
이지원<‘님의 침묵’에 나타난 ‘물’의 의미>충남대 석사 논문,2004.
최현규<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 연구>가톨릭대 석사 논문,2004.8.
이희숙<만해 한용운의 한시 연구>국민대 석사 논문,2004.
이경희<만해시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연구> 경희대 박사 논문,2005.
강마자<한용운의 불교개혁론과 민족죽의 운동>경성대 박사학위 논문,2007.
전보삼<화엄의 관점으로 본 만해사상>동국대 박사 논문,2007.
논문 및 저서
유광렬<‘님의 침묵’독후감><시대일보>1926.5.31.
주요한<애의 기도, 기도의 애-한용운 근작 ‘님의 침묵’독후감><동아일보>1926.6.22,26.
유동근<만해거상 한용운면영><혜성>1931.8.
춘추학인<심우장에 참선하는 한용운씨를 찾아-당대 처사 찾아><삼천리>74호, 1936.6.
김정설<고 한용운 선생 추도문><신생>1호,1946.3.
장도환<만해 선생 산소 참배기><신생>5호,1946.7.
최범술<고 만해 선생의 대기를 당하여><신생>5호,1946.7.
조영암<조국과 예술-젊은 한용운의 문학과 그 생에><자유세계>1권4호,1952.5.
조지훈<한용운선생><신천지>9권10호,1954.10.
조영암<일제에 항거한 시인군상><전망>4호,1956.1.
조승원<한용운평전><녹원>1호,197.2.
정태용<현대시인 연구 其3-만해의 동양적 감각성><현대문학>29호,1957.5.
조연현<한국현대문학사><현대문학>32호,1957.8.
조영암<한용운 평전><녹원>창간호,1957.8.
조지훈<한용운론><사조>1권5호,1958.10.
허 명<만해 한용운 선생><민족문화>12호,1958.12.
홍효민<만해 한용운론-인물문학사 其4><현대문학>56호,1959.8.
박효순<만해의 조국애와‘님의 침묵’><국문학보>(전남대)1호,1959.10.
Peter Hyun, Voices of the Dawn, London,1960.
김상일<근대시인론 其4-한용운><현대문학>66호,1960.6.
박노준<님의 정체-한용운 연구: 그의 시문학을 중심으로 하여><고대문화>2집,1960.8.
인권환<만해의 불교적 이론과 공적-한용운 연구><고대문화>2집,1960.8.
박노준·인권환<한용운 연구>통문관,1960.9.
장문평<한용운의 ‘임’><현대문학>88호,1962.4.
박봉우<흘러간 사람의 시인상>(한용운 편-그리운 것은 님이다.),백문사,1962.5.
서정주<만해 한용운선사><사상계>113호,1962.4.
송 욱<만해 한용운과 타고르-유미적 초월과 혁명의 아공><사상계>117호,1963.2.
송석래<‘님의 침묵’연구><국어국문학논문집> (동국대)5집1964.7.
김운학<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사상><현대문학>118호,1964.10.
최일수<부정과 현세해방-한용운론><문학춘추>8호,1964.11.
유광렬<무애자존의 수도자>불교시보,1965.6.
김영기<만해 한용운론-님과의 대화><현대문학>132호,1965.12.
조지훈<흑풍·암흑 속의 혁명가-한국의 민족시인 한용운-><사상계>14권1호,1966.1.
김장호<동국문단사-한용운과 강원의 시인들><동국대 국어국문과회논문집>6집,1966.1.
조지훈<방우한화-근대명언초><신동아>1966.4.
허 명<만해 한용운 선생>《민족문화》12호,1958.12.
홍효민<만해 한용운론-인물문학사基4>《현대문학》56호,1959.8.
박효순<만해의 조국애와‘님의 침묵’>《국문학보》(전남대)1호,1959.10.
Peter Hyun, Voices of the Dawn, London, 1960.
김상일<근대시인론基4-한용운>《현대문학》66호,1960,6.
박노준<님의 정체-한용운 연구:그의 시문학을 중심으로 하여>《고대문화》2집,1960.8.
인권환<만해의 불교적 이론과 공적-한용운 연구>《고대문화》2집,1960.8.
박노준·인권환《한용운 연구》통문관,1960.9.
장문평<한용운의‘임’>《현대문학》88호,1962.4.
박봉우《흘러간 사랑의 시인상》(한용운 편-그리운 것은 님이다),백문사,1962.5.
서정주<만해 한용운 선사>《사상계》113호,1962.11.
송 욱<만해 한용운과 타고르-유미적 초월과 혁명적 아공>《사상계》117호,1963.2.
송석래<‘님의 침묵’ 연구>《국어국문학논문집》(동국대)5집,1964.7.
김운학<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사상>《현대문학》118호,1964.10.
최일수<부정과 현세해방-한용운론>《문학춘추》8호,1964.11.
유광렬<무애자존의 수도자>불교시보,1965.6.
김영기<만해 한용운론-님과의 대화>《현대문학》132호,1965.12.
조지훈<흑풍·암흑 속의 혁명가-한국의 민족시인 한용운->《사상계》14권 1호,1966.1.
김장호<동국문단사-한용운과 강원의 시인들>《동국대 국어국문학회논문집》6집,1966.1.
조지훈<방우한화-근대명언초>《신동아》1966.4.
김학동<현대시인론고-만해 한용운의 시문학사적 위치基2>(대구대)5집,1966.6.
김윤식<소월·만해 ·육사론-이들의 기간 시집에 미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사상계》160 호,1966.8.
박노준·임종국《한용운론-흘러간 성좌》국제문화사,1966.10.
최원규<한국시의 전통과 선에 관한 소구>《충남대논문집》5집,1966.10.
박노준<한용운의‘님의 침묵’>《사상계》165호,1967.7.
신동문《님의 언어,저항의 언어,한국의 인간상》신구문화사,1967.10.
박항식<한국근대시인과 그 대표작에 대한 연구>《원광대논문집》3집,1967.12.
양중해<만해 한용운론>《제주대학보》9집,1967.12.
김정자<한용운론>《천파문학》8집,1968.4.
김해성<기루는 시정신-만해 한용운의 문학세계>《불교계》20호,1969.4.
김우정<한용운론>《현대시학》3호,1969.5.
김승옥<만해 한용운과 헷세의 비교>《고대문화》10집,1969.5.
서정주<한용운과 그의 시>《한국의 현대시》일지사,1969.5.
고 은<한용운론>《월간문학》8호,1969.6.
백낙청<시민문학론>《창작과비평》14호,1969.6.
최원규<한용운 시의 이해-사랑과 존재의 본질을 중심으로->《충남대 대학원논문집》2 집,1969.7.
정광호<한용운전>《신동아》60호,1969.8.
김 현<여성주의의 승리>《현대문학》178호,1969.10.
E.D.Rockstein,Some Notes on the Founder of Modern Korea Poety,Korea Joumal 9권 12호,1969.12.
김윤식<한국 신문학에 있어서의 타골의 영향에 대하여>《진단학보》32호,1969.12.
강용홀,Meditation of the Lover,연세대출판부,1970.
육 산<현대 불교인 열전-만해 한용운>대한불교,1970.6.21~11.1(13회)
이호철<님의 침묵-여성을 위한 명저순례>중앙일보,1970.9.18.
이길진<조선독립이유서>(역)《창작과 비평》5권 3호,1970.9.
한종만<박한영과 한용운의 한국불교근대화 사상>《원광대논문집》5,1970.12.
정광호<한용운-한일근대인물백선>《신문아》부록,1970.1.
송민호<만해의 저항작품>《일제하의 문화운동사》민중서관,1970.4.
김윤식<님의 침묵과 알 수 없어요-한용운 작품 해설>《월간문학》2호,1970.6.
최정석<소월과 만해-그 동질성과 이질성>《효성여대연구논문집》6·7합집,1970.7.
양주동<만해의 생애와 ‘불청’운동>《법륜》25호,1970.8.
서정주<만해의 문학정신>《법륜》25호,1970.8.
심종선<님에 관한 연구-한용운의 시를 主로 하여>《동국문학》3집,1970.9.
석지현<한용운 유고에 비친 시세계>동아일보,1970.10.5.
조광해<영원한 청년 한용운>《법륜》27~31호,1970.10~1971.2.
정광호《한용운평전》다리,1970.11.
염무웅<한용운의 인간과 시>독서신문 1호,1970.11.8.
안병직<만해 한용운의 독립사상>《창작과비평》5권 4호,1970.12.
김용직<한국 현대시에 미친 Rabindranath Tagore>《아세아연구》41호,1971.3.
김종해<만해 한용운 행적기>《나라사랑》2집,1971.4.
석청담<고독한 수련 속의 구도자>《나라사랑》2집,1971.4.
신석정<시인으로서의 만해>《나라사랑》2집,1971.4.
정광호<민족적 애국지사로 본 만해>《나라사랑》2집,1971.4.
조종현<불교인으로서의 만해>《나라사랑》2집,1971.4.
염무웅<님이 침묵하는 시대>《나라사랑》2집,1971.4.
장 호<풍난화 매운 향기>《나라사랑》2집,1971.4.
한영숙<아버지 만해의 추억>《나라사랑》2집,1971.4.
최범술<철창철학>《시문학》5호,1971.12.
박요순<한용운 연구>《시문학》5호,1971.12.
유승우<‘님의 침묵’과 반야바라밀다심경>《현대시학》35호,1972.2.
장 호<한용운에의 접근>《동국문학》5집,1972.3.
유승우<한용운의 시세계-헤어집과 만남의 길>《현대시학》36호,1972.3.
임중빈<절대를 추가한 길>《부정의 문학》한얼문고,1972.4.
김종철<이별의 상상력-님의 침묵론>《문화비평》13호,1972.7.
임중빈《만해 한용운-위대한 한국인》태극출판사,1972.11.
김용성<‘님의 침묵’의 한용운>한국일보,1972.11.5.
변종하<한용운의 얼굴과 그의 내면세계>《문학사상》3호,1972.12.
문학사상 편집부<한용운 작 ‘님의 침묵’의 작품배경>《문학사상》3호,1972.12.
박경혜<새 자료로 본 만해, 그 생의 완성자>《창작과비평》7권 4호,1972.12.
염무웅<만해 한용운론>《창작과 비평》7권 4호,1972.12.
홍신선<임,혹은 주검에의 길-만해의 시인적 편모를 살핀다>《법륜》51~53호,1972.12
~1973.4.
김우창<궁핍한 시대의 시인>《문학사상》4호,1973.1.
민희식<바슐라르의 촛불에 비춰본 한용운의 시>《문학사상》4호,1973.1.
김열규<슬픔과 찬미사의‘이로니’>《문학사상》4호,1973.1.
서경보<한용운과 불교사상>《문학사상》4호,1973.1.
박경혜<만해 그 생의 완성자>《문학사상》4호,1973.1.
이원섭 외 2인<땅에의 의지와 월의 정신(좌담회)-한용운의 인간과 문학>《문학사상》4호, 1973.1.
이정강<소월과 만해의 시에 나타난 내면적 공간세계 비교고찰>《덕성여대 논문집》2호,
1973.2.
홍이섭·김열규<‘님의 침묵’의 님은 조국인가 연인인가><중앙일보>1973.3.5.
김장호<한용운 시론>《양주동 박사 고희기념논문집》1973.3.
이원섭<조선불교유신론>(역)《창작과 비평》8권 1호,1973.3.
김열규,Han Yong-un:His Life,Religion,Poetry,Korea Journal 13권 4호,1973.4.
홍이섭,Han Yong-un and Nationalism,Poetry,Korea Journal 13권 4호,1973.4.
염무웅<만해사상의 윤곽>서울신문,1973.4.11.
신상웅<만해 한용운-영원한 한국인>《샘터》37호,1973.4.
권기종<조선불교유신론>(역)《법시》96~110호,1973.4~1974.6(14회)
김병익<만해 한용운>동아일보,1973.5.30~31.
안병욱<한용운의 저항과 인간>《통일세계》31호,1973.6.
송 욱<시인 한용운의 세계>《한용운전집》신구문화사,1973.7.
조명기<만해 한용운의 저서와 불교사상>《한용운전집》신구문화사,1973.7.
백 철<시인 한용운의 소설>《한용운전집》신구문화사,1973.7.
임중빈<님의 시인 한용운>《한용운 시집》정음사,1973.7.
윤재근<만해의 ‘알 수 없어요’의 서와 정>《현대문학》226호,1973.10.
홍이섭<한용운과 불교사상>《문학과 지성》14호,1973.10.
최원규<한국현대시의 전통 문제>《보운3호》1973.12.
박철석<한용운의 이별의 미학>《부산문학》6집,1973.12.
송은상<님을 향한 지향성>《성대문학》18집,1973.12.
이정강<소월과 만해의 시에 나타난 내면적 공간세계 비교고찰>《덕성여대 논문집》2집,
1973.12.
_____<만해의 불과 촛불의 상징성>《운현》5집,1974.2.
김학동<만해 한용운론>《한국근대시인연구1》일조각,1974.1.
이기영<매월당과 만해의 차이>《세대》127호,1974.2.
송 욱《님의 침묵 전편해설》과학사,1974.3.
김용직<비극적 구조의 초비극성>《한국문학의 비평적 성찰》민음사,1974.4.
윤영천<형식적 영원주의의 허구-만해 한용운의 경우>《신동아》116호,1974.4.
정한모<만해시의 발전과정고 서설>동덕여대 학보,1974.4.30.
이형기<20년대 서정의 결정-만해·소월·상화>《심상》7호,1974.6.
김윤식<님과 등불>《한국근대작가론고》일지사,1974.5.
노경태<만해 속의 타고르>《동국사상》7집,1974.5.
석지현<한용운의 님-그 순수 서정>《현대시학》63호,19747.6.
문덕수《한용운의 생애와 문학》정음사,1974.6.
김병익<만해 한용운 선생의 사상과 생애>동아일보,1974.6.29.
정재관<침묵과 언어-님의 침묵의 인식론적 면>《마산교대논문집》5권 1호,1974.7.
임중빈《한용운 일대기》정음사,1974.7.
허미자<한국시에 나타난 촛불의 이미지 연구-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이대 한국 문화 연구원논총》24집,19748.
김우창<한용운의 소설>《문하고가 지성》17호,1974.8.
최동호<만해 한용운 시의 이해>고대신문,1974.10.8(상)~10.22(하).
김용직<Rabindranath Tagore의 수용>《한국 현대시 연구》일지사,1974.11.
______<‘님의 침묵’그 노래와 형태의 비밀>《심상》2권 11호,1974.11.
김윤식<만해론의 행방>《심상》2권 11호,1974.11.
문덕수<한용운론>《현대한국시론》선명문화사,1974.12.
정중환<유불 양교의 유신론과 그 사상사적 의의>《하성 이선근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1974.
황헌식<색불이공 공불이생의 경지-한용운의 경우>《현대시학》69호,1974.12.
지종옥<만해 한용운론>《목포교대 논문집》12집,1974.12.
김상선<한용운론 서설-시집,님의 침묵을 중심으로>《국어국문학》65·66합집,1974.12.
오세영<침묵하는 님의 역설>《국어국문학》65․66합집,1974.12.
E.D.Rockstein, Your Silence-Doubt in Faith Han Yong-Un and Ingmar Borgman,Asia and Pacific Quaterly,1975.1.
조재훈<한국 현대 시문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육당․춘원․만해․공초>《공주사대논문집》12 집,1975.3.
김재홍<만해 상상력의 원리와 그 실체적 과정의 분석>《국어국문학》67호,1975.4.
최원규<한국근대시에 나타난 불교적 영향에 관한 연구>《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2권 1호,1975.5.
김관호<3·1운동의 전야(만해선생일화)>《법륜》75호,1975.5.
김윤식<만해론>《한국현대시론비판》일지사,1975.8.
고 은《한용운평전》민음사,1975.9.
조종현<만해 한용운>《한국의 사상가 12선》현암사,1975.9.
한종만<불교유신사상>《박길진박사 화갑기념 한국불교사상사》원광대출판국,1975.10.
이명재<만해 소설고>《국어국문학》70호,1976.3.
이관구<독립운동과 한용운><경향신문>1976.3.1.
백광하<불교인의 독립운동-만해를 중심으로>《법륜》85호,1976.3.
한기두<불교유신론과 불교혁신론>《창작과 비평》11권 1호,1976.3.
소두영<구조문체론의 방법-한용운의 ‘님의 침묵’북석시론->《언어학》1호,1976.4.
조재훈<부정의 불꽃-님의 침묵론>《호서문학》5집,1976.4.
조동일<김소월·이상화·한용운의 님>《문학과 지성》24호,1976.5.
김영태<불교유신론 서설>《창작과비평》1976여름.
이기철<한국저항시의 구조>《우촌 강복수 박사 회갑논문집》1976.6.
김흥수<한용운의 백담사>일요신문,1976.6.20.
김운학<민족과 일체감 이룬 만해>《새바람》2호,1976.7.
김영무<한용운과 이육사>《뿌리깊은나무》7권7호,1976.8.
이명재<한용운 문학의 연구-민족문학 모델로서의 총체적 접근>《중대논문집》20집,
1976.10.
정한모<만해시의 발전과정 서설>《관악어문연구》1집,1976.12.
박종문<만해 한용운의 시세계-님의 침묵과 역설의 고찰>《조대학보》(조선대)10 호,1976.12.
J.C.Houlhan,The Life and Work of Han Yong-Un,London University,1977.
김성배<한용운 편 불교교육 불교한문 독본에 대한 연구>《불교학보》제5집,동국대 출판 부,1977.
최원규<근대시의 형성과 불교>《현대시학》96호,1977.2.
박철희<시 작품과 해석의 문제-‘님의 침묵’과 ‘알 수 없어요’의 경우->《문리대학보》(영남 대)9호,1977.2.
송 혁<만해의 불교사상과 시세계>《현대문학》268~269,1977.4~5.
김재홍<만해 시의 장르적 특성>국어국문학회 월례발표,1977.4.
______<만해 시 정서의 형질에 관한 분석>《국어국문학》74호,1977.4.
한승옥<대립과 생성의 구조>《어문논집》18집,1977.4.
이용훈<님의 침묵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만해시의 인식 세계와 정신>《국어국문학》75 호,1977.5.
송 혁<만해의 불교사상>《법륜》100호,1977.6.
박철희<한국 근대시와 자기인식-김소월과 한용운의 경우>《현대문학》271호,1977.7.
조종현<조선독립의 서>(역)《법륜》102호,1977.8.
장백일<만해 한용운론-님의 침묵의 불교사상적 이해>《시문학》73~74호,1977.8~9.
최원규<만해시의 불교적 영향>《현대시학》101~104호,1977.8~11.
김선학<시인 한용운>《동악어문논집》10집,1977.9.
송재갑<현대불교시연구-한용운과 서정주>《동악어문논집》10집,1977.9.
홍문표<한국현대시의 불교적 전통-만해시를 중심하여>《월암 박성희 박사 환력기념논총》 1977.9.
최동호<서정시의 시적 향상에 관한 비평적 이해-김소월·한용운의 경우>《박성우 박사 환력 기념 논총》1977.9.
이명재<한용운 문학의 특수성>《녹지》11집,1977.12.
______<만해 문학의 여성편향고>《아카데미논총》5집,1977.12.
최범술<한용운 선생의 사상>《불광》41호,1978.3.
인권환<만해의 시와 보살사상>《불광》41호,1978.3.
강석주<한용운선생을 생각한다>《불광》41호,1978.3.
고 은<한용운론 서설>《불광》41호,1978.3.
장 호<‘님의침묵’을 통해 본 만해사상>《불광》41호,1978.3.
송건호<한용운 선생을 생각한다>《불광》41호,1978.3.
조동일<한용운>《한국문학사상사시론》지식산업사,1978.4.
김 현<우상화와 선입견의 죄>《문학사상》71호,1978.8.
목정배<만해의 불교청년운동고>《법시》160호,1978.8.
______<한용운의 평화사상>《불교학보》15,1978,8.
송 욱<설법과 증도의 선시>《문예중앙》가을호,1978.10.
김흥규<시인인가 혁명가인가>《문예중앙》가을호,1978.10.
이선영<그 실상은 무엇인가?>《문예중앙》가을호,1978.10.
김 현<만해 그 영원한 이별의 미학>《문예중앙》가을호,1978.10.
목정배<만해의 포교관>《법시》162호,1978.10.
김상현<만해의 보살사상-시집‘님의 침묵’을 통해 본>《법륜》117~121호,1978.11~
1979.3(5회).
심재기<만해 한용운의 문체추이>《관악어문연구》3집,1978.12.
전서암<만해의 저항정신과 불교유신론>《씨677p》
이인복《죽음의식을 통해 본 소월과 만해》숙명여대 출판부,1979.
안병직《한용운》한길사,1979.
정병덕<만해론 소고-만해시의 초월사상을 중심으로>《행당》(한양대)8집,1979.1.
김재홍<한국시의 장르 선택과 전통성 문제>《충북대논문집》17집,1979.2.
이동화<한국의 불교와 근대문학-님의 침묵과 관련하여>《서울대》(교지)2호,1979.2.
김종균<한용운의 한시와 시조-그 옥중작을 중심으로>《어문연구》21호,1970.3.
목정배<만해와 청년불교,젊은 나라>《세대》186호,1979.3.
이혜성<만해 스님과 청담 스님의 사상>《법륜》121호,1979.3.
전보삼<만해정신의 현장>대한불교785~794호,1979.4.15~7.1.
이명재<만해연구와 그 문학적 특성>《법륜》123호,1979.5.
송 혁<만해선사의 호국관>《불광》56호,1979.6.
김흥규<님의 소재와 진정한 역사>《창작과 비평》14권 2호,1979.6.
안병직<조선불교유신론의 분석>《창작과비평》14권 2호,1979.6.
이상섭<만해시에의 열쇠는 없다>《문학사상》80호,1979.7.
김우창<한용운의 믿음과 회의>《문학사상》80호,1979.7.
김열규<‘님의 침묵’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문학사상》80호,1979.7.
전보삼<타인 작품을 만해 작품으로>대한불교795호,1979.8.
이명재<만해는 실천적 민족시인>한국일보,1979.8.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