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포커스) '신도단체 재등록 사업' 논란 > 마음나누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마음나누기

마음나누기

(불교포커스) '신도단체 재등록 사업' 논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소영 작성일11-12-02 19:05 조회3,592회 댓글0건

본문



2011년 11월 10일 (목) 11:02:14 여수령 기자 btn_sendmail.gifwebmaster@budgate.net

'신도단체 재등록 사업' 논란
단체명에 '조계종' 명시-포교원장이 인사권 행사




“우리는 조계종 산하단체인가 아닌가?”

조계종 포교원이 실시하는 ‘신도단체 재등록 사업’을 두고 불교계 직장직능 및 연합단체들의 고민이 깊다. 신도단체로 재등록할 경우 기존과 달리 단체명을 ‘대한불교조계종 000’으로 바꾸어야 하는 것은 물론, 회장 임명권 또한 당연직 총재인 조계종 포교원장이 갖게 되기 때문이다. 재등록을 거부하면 조계종이 주최ㆍ주관하는 사업에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없고 협찬과 지원ㆍ보호를 받을 수 없다.

“정체성 확립-포교역량 결집” 명분

현재 조계종 신도단체는 모두 16곳. 대한불교청년회와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등 연합단체와 한국공무원불자연합회, 한국교수불자연합회 등 직장ㆍ직능단체들이다. 그간 ‘신도단체’로 등록되어 있긴 했지만 ‘수평적’ 관계를 유지해왔던 이들로서는, 2012년 1월5일까지 재등록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중차대한 기로에 섰다. 단체들 중에는 이미 ‘재등록 포기’를 결정한 곳이 있는가 하면 아직 관련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한 곳도 있다.

‘신도단체 재등록 사업’은 △신도단체 재정비 및 종단 정체성 확립 △등록 단체의 권리와 의무 강화 △신도단체 조직력 강화를 목적으로 추진된다. 포교원 정유탁 신도팀장은 “등록단체에 보조금만 지원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확실한 정체성 아래 지원ㆍ관리하겠다는 뜻”이라며 “각 분야 전법단과 연계해 시너지를 내는 등 포교역량을 결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적 근거 없는 강제…단체 옥죄려는 것”

단체들 역시 조직을 재정비하고 흩어진 포교역량을 모은다는 뜻에는 대체로 공감한다.

문제는 방식이다. 정관에 ‘조계종 종지 종풍을 봉대하며’란 문구를 적시하고, 단체명에 ‘대한불교조계종’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 조계종 포교원장이 당연직 총재가 되어 회장 및 감사의 임명권을 갖게 되는 방식을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단체실무자는 “포교원이 형식적으로나마 임명권을 행사하게 되면 앞으로 종단에 반대 목소리를 내기 힘들지 않겠나. 지원금으로 단체를 옥죄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재등록 지침’의 법적 근거가 없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지난 7월 개정된 ‘신도단체등록 및 관리령’에는 신도단체 등록 시 ‘종지종풍 이행 각서’는 제출토록 하고 있으나 임명권에 관한 규정은 없다. ‘대한불교조계종’ 명칭 사용 역시 의무가 아닌 ‘사용할 수 있다’는 권리사항으로 명기되어 있다.

“역사성 무시” “여타 종단 배제” 불만

회원들 사이에선 여러 불만들이 제기되고 있지만 단체들은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대한불교청년회 정우식 회장은 “11월 12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차분히 논의하겠다”고 밝혔고,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이인근 회장 역시 “지부장단, 지도위원단을 비롯해 12월 23일 예정된 총회를 거쳐 재등록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익명을 요구한 대불청의 한 회원은 “통합종단 조계종이 출범하기 전부터 활동해 온 대불청을 산하 신행단체로 등록하라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반대 의견을 밝혔다. 또 다른 단체 실무자 역시 “회원 중 다른 종단 신도도 있고 지역 법회 시 다른 종단 사찰의 도움도 받아왔다”며 “조계종 단체로만 정체성을 규정하기가 어렵지 않겠냐”는 걱정을 전했다.

직장직능단체들은 논의 자체의 어려움을 토로한다. 한국공무원불자연합회 관계자는 “공문을 접수했으나 논의는 하지 못했다. 회원, 임원들의 바쁜 일정 탓에 공유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조계종 중앙신도회관(전법회관)에 입주해 있는 직장직능단체들은 상대적으로 큰 거부감 없이 재등록을 받아들이리란 관측도 있다.

포교원측은 “단체 중 몇 곳만 재등록 할 수도 있다. 재등록 기간 동안 단체들을 만나 의견을 듣고 문제점을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2011년 11월 24일 (목) 22:50:07 여수령 기자 btn_sendmail.gifwebmaster@budgate.net newsdaybox_dn.gif

포교원-단체 여전히 평행선
논란 불씨 그대로..."종단협 산하로 하자" 제언도



논란을 빚고 있는 ‘신도단체 재등록 사업’과 관련해 조계종 포교원과 단체들이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

포교원장 지원스님은 14일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현장에서 부딪치면 풀어지지 않겠냐. 충분한 교감을 갖고 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단체들은 이사회 등을 통해 내부 논의를 시작했다. 하지만 문제로 지적된 단체명 개명과 임명권 간섭 등은 여전히 불씨로 남아 있다.

내년 1월, 포교원에 신도단체로 재등록해야 하는 곳은 한국공무원불자연합회, 한국교수불자연합회 등의 직장ㆍ직능단체와 대한불교청년회,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같은 연합단체를 포함해 총 16곳이다.

먼저 논의를 시작한 곳은 대불청과 대불련이다.

대불청은 지난 12일 6차 이사회를 열고 신도단체 재등록 여부를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단체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고려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과 “조계종 산하단체로 등록해도 문제없다”는 의견이 엇갈렸다. “대불청의 경제적 자립이 어렵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조계종의 다각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자”는 제언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이사회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집행부에 ‘논의위원회’ 구성을 일임하기로 결의했다. 대불청 정우식 회장은 “정관 개정 등의 문제가 있는 만큼 1월에 열리는 총회 전까지 논의를 이어 가겠다”고 말했다.

대불련도 지부장단과 지도위원단 단위에서의 논의를 시작했다. 다른 단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정 자립도가 낮은 대불련으로서는 고민이 더욱 깊을 수밖에 없다. 더구나 대불련 출신 동문들의 모임인 대불련 총동문회는 신도단체 재등록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져, 대불련의 결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불련 이인근 회장은 “오는 12월 23일 예정된 총회 전에 재등록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논의나 결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어려움을 전했다.

직장직능단체들은 대부분 “12월에 열리는 총회에서 논의하겠다”거나 “재등록 시점에 임박해서야 의견이 모이지 않겠냐”며 논의를 유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단체장은 “직능ㆍ연합단체들에 조계종의 정체성만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불교인권위원회처럼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산하로 두고 사안에 따라 협력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지 않겠냐”고 제언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