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선사 일화 속 사상 - 13 > 마음나누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마음나누기

마음나누기

만해선사 일화 속 사상 - 13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영만 작성일12-10-14 07:36 조회3,390회 댓글1건

본문

154060475069321B0E3225

창자까지 陷落되겠다(창자까지 함락되었다)- 40

중일전쟁(中日戰爭)을 일으킨 일본은 중국을 침략하기 시작하였다. 워낙 넓은 땅이라 점령한 지역이란 고작 선(線)과 점(點)에 지나지 않았지만 잇따라 한구 함락(漢口陷落), 남경 함락, 상해 함락 등의 보도가 빈번해졌다.

일본의 이런 전황(戰況)에 따라서 우리나라 애국지사들도 사상이 변하여 일본식으로 창씨개명(創氏改名)을 하는가 하면 일제에 아부하고 일본을 위한 강연에 자진하여 나서는 사람이 자꾸 늘어났다.

이때 선생은 민족정신을 수습할 수 없음을 통탄하며,

"왜병(倭兵)의 함락 선전 바람에 창자까지도 함락당하겠군! " 하는 말을 되뇌었다.

곰과 獅子(곰과 사자)- 41

1937년 2월 26일 총독부 회의실에서 총독부에서 주관한 31본산 주지회의가 열렸다. 이것은 조선 불교를 친일화시키려는 목적에서 계획된 것이었다.

여기에 참석한 마곡사(麻谷寺) 주지 송만공(宋滿空) 선사는 명웅변(名雄辯)을 벌임으로써 이 회의를 주재하는 총독을 큰 소리로 꾸짖었다.

"과거에는 시골 승려들이 서울엔 들어서지도 못했으며, 만일 몰래 들어왔다가 들키면 볼기를 맞았다. 그때는 이같이 규율이 엄하였는데 이제는 총독실에까지 들어오게 되었으니 나는 도리어 볼기 맞던 그 시절이 그립다.

우리들이 여기에 오게 된 것은 사내정의(寺內正毅:초대총독)가 이른바 사찰령(寺刹令)을 내어 승려의 규율을 파괴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경전(經典)이 가르치는 것과 같이 사내정의는 무간지옥(無間地獄)에 갔느니라. 따라서 남(南) 총독 역시 무간지옥에 갈 것이다."

그러고는 "총독은 부디 우리 불교만은 간섭하지 말고 우리에게 맡겨 달라"고하는 말로 끝을 맺었다.

당시 위세를 떨치던 총독을 바로 앞에 놓고, 송만공 선사는 손에 들고 있던 지팡이로 책상을 치기까지 하면서 총독은 무간지옥에 갈 것이라고 호통을 치는 장면은 참으로 얼마나 통쾌하고 장엄했을까?

물론 장내는 초긴장이 되었으며, 이제 총독으로부터 무슨 날벼락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고 모두가 숨을 죽였다.

만공 선사를 미친 늙은이라고 하는 사람도 없지 않았다. 이때 총독은 무슨 생각에서인지 만공 선사를 체포하려고 하는 헌병들을 만류하였다고 한다.

회의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어수선하게 끝났으나 예정했던 대로 총독은 참석자 전원을 총독 관저로 초빙하였다.

그러나 만공 선사는 총독 관저로 가지 않고 선학원(禪學院)으로 만해 선생을 만나러 갔다.

총독을 호되게 꾸짖은 이 통쾌한 이야기는 금방 장안에 퍼졌다. 이미 이 사실을 들은 만해 선생은 만공 선사가 찾아온 것이 더욱 반가웠다.

이윽고 곡차(穀茶)를 놓고 마주앉아 마시며 이야기를 주고 받다가 만해 선생은 말했다.

"호령만 하지 말고 스님이 가지신 주장(주杖)으로 한대 갈길 것이지."

만공 선사는 이 말을 받아넘겼다.

"곰은 막대기 싸움을 하지만 사자는 호령만 하는 법이지."

그러고 보니, 만공 선사는 사자가 되고 만해 선생은 곰이 되어 버린 셈이다. 그러나 만해 선생은 즉각 응대하였다.

"새끼 사자는 호령을 하지만 큰 사자는 그림자만 보이는 법이지."

즉 만공 선사는 새끼 사자가 되고 만해 선생은 큰 사자가 되어버린 셈이다.

당대의 고승(高僧)인 이 두 분이 주고 받은 격조 높은 이 대화는 길이 남을 만한 역사적인 일화(逸話)일 것이다.

훗날 만해 선생이 돌아가신 후 만공 선사는 이제 서울에는 사람이 없다고 하여 다시는 서울에 오지 않았다고 한다.

乞食은 無能이다(걸식은 무능이다)- 42

어느날 선생은 집 앞에서 탁발(托鉢)하는 중을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탁발은 비록 보살만행(菩薩萬行) 중의 하나이나, 만행(萬行)에서 9천 9백 9십 9행을 버리고 하필이면 왜 하나인 탁발을 택했는가?

구걸은 자기의 무능을 나타내고 다른 사람의 천대를 받을 뿐이다."

이 말을 들은 중은 부처님의 행적을 들어, 선생에게 불만을 표시했다.

그러자 선생은,

"지금은 시대가 다르다. 다른 종교인의 멸시를 면치 못할 뿐이니 불교인을 위하여서라도 앞으로 구걸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리라." 하고 충고했다.

평범한 한 마디 말씀 속에서도 오랜 동안 도습되어 온 탁발 제도에 대한 혁신 정신을 엿볼 수 있다.


- 편집 보강(김영만) 전법위원 -

출처: 만해기념관(
http://www.manhae.or.kr/)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김영만님의 댓글

김영만 작성일

어떤 상황에서도 굳건함을 보이신 만해선사,
순간의 문답속 기지를 보이신 만해선사,
걸식의 모습을 보고서 표현된 불교
혁신정신의 만해선사 _()_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