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03월16일(불암산 여명) > 마음나누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마음나누기

마음나누기

2013년 03월16일(불암산 여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영만 작성일13-03-16 08:02 조회4,072회 댓글1건

본문

2013년 03월16일(불암산 여명)

2622C9335143A71419E012

2521CB335143A7151C95E4

 

0322EE335143A7161A1CD7

232093335143A7191C98B5

 

11328D335143A71B0DF2DF

026354345143A71E18A221

 

21630D345143A71F18FBF2

026933345143A7211401CF

 

266831345143A722138C87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김영만님의 댓글

김영만 작성일

십육관법 十六觀法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신상(身相)과 정토(淨土)의 장엄(莊嚴)을 관상(觀想)하는 16가지 방법.

십육관이라고도 한다. 관(觀)이란 보는 것, 관찰하는 것, 염관(念觀)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며, 관법이란 불교수행법의 기본으로서 관심(觀心)이라고도 한다. 이 말은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 나오는 말로서, 석가모니가 위제희 부인(韋提希夫人)과 다음 세상에 태어날 중생들을 위해 그들이 극락세계에 가서 태어나는 한 방편으로 제시한 수행법이다.

일관(日觀:日想觀), 수관(水觀:水想觀), 지상관(地想觀), 보수관(寶樹觀), 보지관(寶池觀), 보루관(寶樓觀), 화좌관(華座觀), 상관(像觀), 진신관(眞身觀), 관음관(觀音觀), 세지관(勢至觀), 보관(普觀), 잡상관(雜想觀), 상배관(上輩觀), 중배관, 하배관 등의 16가지이다. 각기 상·중·하의 3류(類)가 있어 각자가 자기에게 적당한 행업(行業)으로 왕생할 것을 관상하는 것이다.

또한 관(觀)과 지(止)는 상대(相對)가 된다.
<삼마타>인 지(止, 범어 samatha, 奢摩他)는 마음을 한 대상[一對境]에 응시 고정[凝定]하여, 아울러 상념(想念)을 쉬는 공부이다. 선정(禪定)의 정(定)에 해당한다.
중도관(中道觀)을 비록 관(觀)이라고 말하지만, 지(止)와 관(觀), 이 둘이 작용하여 우필차(不苦不樂의 捨에 모인 中道의 뜻. 범어 upeksa , 優畢叉)한다는 뜻이 들어있다. 이런 까닭에, 위에서 말한 여러 관(觀)을 비록 비파사나(毘鉢舍那)라고 말하지만, 중도관(中道觀)이기 때문에 뜻이 다르다.
또한 대상의 경계[對境]에 따라 관하면 관경(觀境)이고,
관으로 얻어지는 지혜는 관지(觀智) 혹은 관혜(觀慧)이고,
진리를 사유하여 그 뜻을 알면 관해(觀解)이고,
제법의 무애(無碍)를 관하여 삼제(三諦)의 원융(圓融)하고 부사의(不思議)한 묘리(妙理)를 통달하면 관달(觀達)이다.
이 외에, 천태종(天台宗)이 말하는 관(觀)은 일념삼천(一念三千), 일심삼관(一心三觀) 등이 있다. 자기 마음의 본성(本性)을 관하는 까닭에 관심(觀心)이라고 한다.
화엄종(華嚴宗)은 관으로써 깨달음의 도(道)에 든다. 이런 까닭에 관도(觀道)라고 한다.

기신론(起信論)의 지관(止觀) 두 수행문(修行門)이다.
(1) 지(止) 수행문...일체 경계의 산란한 상(相)을 쉬어서, 삼마타를 수순한다. 선정의 정(定).
(2) 관(觀) 수행문...인연따라 생멸하는 상(相)을 분별하여, 비파사나를 수순한다. 선정의 선(禪)
이 두 가지로 점차 수행해 가면서 지와 관 두 가지를 서로 버리지 않고 성취한다.
-------------------

면벽(벽을 향해 손바닥을 내밀어 닿을 듯 말 듯한 거리)후
새벽 막 떠오르는 커다랗고 둥근 해가 면벽의 공간에 떠 있다고 생각하고
해를 관하는 일출관도 있음.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