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안정과 민족문화 수호를 위한 1080배 정진 > 마음나누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마음나누기

마음나누기

민생안정과 민족문화 수호를 위한 1080배 정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원협 작성일11-01-10 18:52 조회3,950회 댓글0건

본문

   

민생안정과 민족문화 수호를 위한 1080배 정진

  <?XML:NAMESPACE PREFIX = O />

불기2555(2011)110() 오전 10대한불교조계종 민족문화수호위원회는 청계광장에서 민생안정과 민족문화수호를 위한 1080배 정진을 봉행했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무기관 교역직 스님들과 일반직 직원 300여명은 오전 10시 청계광장에 모여 삼귀의와 반야심경을 봉독한 후, 부처님전에서 올리는 발원문(서울 시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을 낭독하였으며, 이후 동참 사부대중 모두가 1080배 정진을 시작하였습니다.

1080배 정진은 문화부장 효탄스님의 집전으로 처음 108배를 3회 한 후 약 5분간 포행을 3회 반복한 후, 마지막으로 108배를 진행하였습니다.

1080배 정진을 마칠 즈음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께서 청계광장을 방문하여 정진 동참 사부대중을 격려했습니다.

 

 

 

오늘 정진법회에는 민족문화수호위원회 위원장 영담스님과 대변인 장적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사회부장 혜경스님, 호법부장 상운스님, 사서실장 경우스님, 문화부장 효탄스님, 박물관장 흥선스님, 교육부장 법인스님, 포교부장 계성스님을 포함한 50여분의 스님과 250여명의 재가 불자가 함께 동참하였습니다.

 
오늘 정진법회는 우리사회와 역사의 발전에 미흡했던 한국 불교의 지난 모습을 참회하고, 국민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민생안정과 민주주의의 회복을 발원하는 한편, 민족문화 수호와 종교평화를 발원하며, 우리의 손으로 우리문화를 지켜가겠다는 서원을 담은 것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민족문화수호위원회는 지난 1214일부터 '민족문화 수호를 위한 100일 정진 결사'를 시작하여 매일 오전 845분 조계사 대웅전에서 108배로 하루일과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100일 정진의 과정에서 민생안정과 민족문화 수호를 위한 의지를 다지기 위해 1080배 정진을 진행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성도재일(음력 128)을 하루 앞두고 첫 1080배 정진을 진행했습니다. 성도재일을 맞아 전국사찰에서는 부처님의 깨달음과 그 수행을 본받기 위해 하루전날부터 철야 용맹정진을 해오는 전통적인 수행의 기풍이 있습니다. 오늘의 1080배 정진은 중앙종무기관의 스님들과 직원들이 민족문화 수호에 대한 의지를 국민들과 불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진행된 것입니다.

 
붙임 : 서울 시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

  

 

 

서울 시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 민생 안정과 민족문화 수호를 발원하는 1080배 정진에 부쳐 -

 

참회와 발원의 1080배 정진(精進)을 시작합니다.

1700년 한국불교는 이 땅의 역사,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고이 간직하며 국민과 고락을 함께 해왔습니다. 한국불교는 곧 한국인의 정신임을 자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불교의 자존심은 짓밟히기 시작했고, 미군정(美軍政) 속에서의 종교 환경 변화, 이어진 군사정권 하에서의 자주성 훼손 등을 겪으며 우리 사회의 혼란스러운 근현대사가 그대로 투영되는 아픔을 겪어야 했습니다. 이러한 시기를 거치면서 한국불교는 생존 자체가 절박한 현실을 당하였으며, 이는 불교계가 한국 사회 전체를 올바로 보지 못하고 올바로 국민들을 보듬지 못하는 한계를 갖게 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이런 이유로, 오늘 저희 사부대중은 국민 여러분들께 더욱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고 우리 사회와 역사의 발전에 미흡했던 한국 불교의 지난 모습을 참회하는 1080배 정진을 시작합니다.

 

국민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민생 안정과 민주주의의 회복을 발원합니다.

조계종단은 한국을 대표하는 종교 단체이며 현 정부는 민주주의 절차에 의해 합법적으로 선출된 정권입니다. 의견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정부는 공정하고 불편부당(不偏不黨)한 국정 운영을 하여야 하며, 종교 단체는 고유의 종교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의 안정과 통합에 기여해야 합니다. 이것이 종교 편향 등 현 정부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조계종단이 종교 단체로서 때로는 인내하고 때로는 협조하였던 가장 큰 이유입니다.

그러나 공정하여야 할 정부가 종교, 학벌, 지역을 기준으로 한 특정 집단이나 세력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여러 사회적 논란거리들을 일방적인 밀어붙이기로 정부의 입장만을 관철시키고자 하는 행태가 계속되었습니다.

급기야, 국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사안들을 누락시키거나 감액하면서 날치기몸싸움으로 예산을 통과시키기에 이르렀습니다. 더욱이 조계종단에서는 4대강 문제를 원만하게 풀어내고 이로 인한 갈등 구조를 개선하고자 원효스님의 화쟁(和諍)사상을 받들어 화쟁위원회를 구성하고 정부 여당 대표와 시민 단체 대표 등이 모여 진지하고 심도있는 논의를 전개하고 있었기에 4대강 예산의 일방적, 폭력적 처리는 실로 충격적이었습니다. 이는 곧 민주주의의 퇴보를 상징하는 상징적 사건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민족 문화 수호와 종교 평화를 간절히 발원합니다.

한국불교는 우리 민족의 문화를 그대로 이어 오고 있습니다. 외국인이나 이 민족이 보기에는 단순히 하나의 종교일지 모르나, 우리에게는 전통의 가치를 간직하고 있는 모습일 때가 더욱 많습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석굴암이나 팔만대장경은 물론 수많은 불교 문화재는 곧 우리 모두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단오에는 부채를, 동지에는 팥죽과 달력을 나누어 주거나 오랜만에 만나는 지인들과 엎드려 맞절을 하는 풍습은 단지 불교적 관습이 아닌 우리 민족 고유의 세시 풍속입니다. 사시사철 수많은 국민들이 찾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 또한 사찰이 보존해 오고 있는 곳이 적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가치와 자산들을 국가적 보존의 가치가 있다 하여 이승만 정권부터 지금까지 국가 차원에서 지정하고 관리해온 지가 수 십 년입니다.

이제 불교계부터 근본적으로 인식을 전환하여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적 자산을 불교계와 국민 여러분이 함께 지켜 나가 국민 여러분은 물론, 세계인들과 함께 향유하는 소중한 인류의 문화 유산으로 보존해 나가겠습니다.

일부러 무리지어 사찰을 찾아 자신들의 종교 의식을 행하고, 사탄이라 손가락질하는 행위를 직접 탓할 생각은 없습니다. 정부의 정책이나 지자체의 사업이 일부 특정 종교단체의 주장에 따라 좌우되고 폐기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종교간 갈등을 조장 방조하고 활용하려는 현 정부의 종교 정책이 이제는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지경입니다.

그러나 어떤 어려움이 닥쳐와도 이웃 종교인들과 함께 종교 평화와 화합을 지키겠다는 원칙과 서원은 끝까지 놓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우리 손으로 우리의 문화를 지키겠습니다.

국민 여러분과 함께 하는 한국불교가 되도록 정진하겠습니다.

지금 비록 힘들고 어렵더라도 종교적 가르침과 원력, 국민 여러분들의 비판과 격려 속에서 성장하고 올바로 자리잡도록 하겠습니다. 11배 서두르지 않고 거듭하면 곧 1080배가 되듯이, 긴 호흡으로 한 발 한 발 국민 여러분과 함께 내딛겠습니다.

오늘 국민여러분께 올리는 참회와 발원을 기점으로 현재의 상황을 약으로 삼아 불교계가, 조계종단이 먼저 자성하고 변화하겠습니다.

1700년 이 땅에 뿌리 내려 온 한국불교의 오늘이 부끄럽지 않고, 모든 이웃과 인류에 희망과 행복을 안겨주는 내일이 올 수 있도록 정진 또 정진, 발원합니다.

 

불기 2555(2011)110

 

대한불교조계종 민족문화수호위원회 1080배 정진 대중 일동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