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세계 문화 유산 목록( 불교문화 포함) 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진창호 작성일10-12-26 17:11 조회4,964회 댓글0건본문
본 자료는 문화재청과 천봉산 흥복산 cafe.daum.net/heungbok 카페의 자료를 참고및 인용 하였음을 밝힙니다.


- 세계유산은 1972년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합니다.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각국의 부동산 유산이 등재되는 세계유산의 종류에는 문화유산,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와 자연의 가치를 함께 담고 있는 복합유산이 있습니다.
세계유산 현재 기준 총 151 개국 911 건 문화유산 : 704 건 자연유산 : 180 건 복합유산 : 27 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34 건 공동등재 세계유산 : 24 건 중 대한민국 세계유산
전체 : 17 건, 1/2 (공동등재로 인한 중복 포함)


석굴암ㆍ불국사 (1995년) 해인사 장경판전 (1995년)
10 |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Historic Village... | 한국 | 2010 | 문화 | ||
9 | 제주 화산섬 및 용암동굴 (Jeju Volcanic Isla... | 한국 | 2007 | 자연 | ||
8 | 경주 역사 지구(Gyeongju Historic Areas) | 한국 | 2000 | 문화 |
7 |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Gochang, Hwasu... | 한국 | 2000 | 문화 | ||
6 | 수원 화성(Hwaseong Fortress) | 한국 | 1997 | 문화 | ||
5 |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Complex) | 한국 | 1997 | 문화 | ||
4 | 석굴암과 불국사(Seokguram Grotto and Bul... | 한국 | 1995 | 문화 | ||
3 | 종묘(Jongmyo Shrine) | 한국 | 1995 | 문화 | ||
2 | 해인사 장경판전(Haeinsa Temple) | 한국 | 1995 | 문화 | ||
1 | 조선왕릉(Royal Tombs of the Joseon Dy... | 한국 | 2009 | 문화 |
-
-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표목록 또는 긴급목록에 각국의 무형유산을 등재하는 제도입니다. 2005년까지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프로그램 사업이었으나 지금은 세계유산과 마찬가지로 정부간 협약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종묘제례및 종묘제례악 (2001년 ) / 판소리 (2003년) / 강릉단오제 (2005년) / 강강술래 (2009년 )
남사당놀이 (2009년) /영산제 (2009년)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2009년) / 처용무 (2009년)
년)
영산재는 49재(사람이 죽은지 49일째 되는 날에 지내는 제사)의 한 형태로, 영혼이 불교를 믿고 의지함으로써 극락왕생하게 하는 의식이다. 석가가 영취산에서 행한 설법회상인 영산회상을 오늘날에 재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불교 천도의례 중 대표적인 제사로 일명 ‘영산작법’이라고도 한다.
영산재는 제단이 만들어지는 곳을 상징화하기 위해 야외에 영산회상도를 내다 거는 것으로 시작한다. 신앙의 대상을 절 밖에서 모셔오는 행렬의식을 하는데, 이때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해 해금, 북, 장구, 거문고 등의 각종 악기가 연주되고, 바라춤·나비춤·법고춤 등을 춘다. 신앙의 대상을 옮긴 후에는 여러 가지 예를 갖추어 소망을 기원하며 영혼에게 제사를 지낸다.
마지막으로 신앙의 대상을 돌려보내는 봉송의례를 하는데 제단이 세워진 곳에서 모든 대중이 열을 지어 돌면서 독경 등을 행한다. 예전에는 사흘 낮과 밤에 걸쳐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규모가 축소되어 하루동안 이루어진다.
영산재는 전통문화의 하나로,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 모두 부처님의 참진리를 깨달아 번뇌와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지에 이르게 하고 공연이 아닌 대중이 참여하는 장엄한 불교의식으로서 가치가 있다.
인류의 무형유산중 현재 기준 총 84 개국 213 건중 대한민국 인류의 무형유산 목록 전체 : 11 건, 1/2 (공동등재로 인한 중복 포함)11 매사냥 (Falconry: a living human her... 대한민국 2010 무형유산 10 가곡 (Gagok, lyric song cycles acco... 대한민국 2010 무형유산 9 대목장 (Daemokjang, traditional wood... 대한민국 2010 무형유산 8 영산재 (Yeongsanjae) 대한민국 2009 무형유산 7 남사당 놀이(Namsadang Nori) 대한민국 2009 무형유산 6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Jeju Chilmeoridang Ye... 대한민국 2009 무형유산 5 강강술래(Ganggangsullae) 대한민국 2009 무형유산 4 처용무(Cheoyongmu) 대한민국 2009 무형유산 3 강릉단오제 (Gangneung Danoje) 대한민국 2005 무형유산 2 종묘제례 및 제례악 (Royal Ancestral Rite ... 대한민국 2001 무형유산 1 판소리(The Pansori Epic Chant) 대한민국 2003 무형유산
-
- 유네스코가 고문서 등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하는 사업으로 유산의 종류로는 서적(책)이나 문서, 편지 등 여러 종류의 동산 유산이 포함됩니다
직지심체요절(2001년)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2007년) -
현재 기준 총 83개국 1대륙 3국제기구 193 건중 대한민국 세계의 기록유산 전체 : 7 건, 1/1 (공동등재로
인한 중복 포함) 목록입니다.
7 승정원 일기 (Seungdeongwon Ilgi, the D... 대한민국 2001 6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 (Printing woodblocks ... 대한민국 2007 5 동의보감: 동양의학의 이론과 실제 (Donguibogam:... 대한민국 2009 4 조선왕조실록 (The Annals of the Choson ... 대한민국 1997 3 조선왕조 의궤 (Uigwe: The Royal Protoc... 대한민국 2007 2 직지심체요절 (Buljo Jikji simche yojeol... 대한민국 2001 1 훈민정음 해례본 (The Hunmin Chongum manu... 대한민국 199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