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우리말 팔만대장경' 개정판 간행 출간 계약 대한불교청년회 기자회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앙사무국 작성일11-03-29 09:04 조회4,485회 댓글0건본문

1963년 대한불교청년회 성전편찬위원회가 최초로 간행하였던 '우리말 팔만대장경'을 '대장경 간행 1000년'을 맞아 대한불교청년회는 개정판 간행을 추진 하고 있습니다.
|
성전편찬 불교석학 대거동참 ‘내손 스친 대불사’생각에 뭉클 한국불교사에서 특기할만한 출판물이 탄생되었다. 바로 <우리말 팔만대장경>이 법통사에서 간행된 것이다. 1963년 6월8일에 발행되었다. 편역자는 대한불교청년회 성전편찬위원회였다. 이 성전을 편찬하기 위해 한국의 불교석학이 모두 참집하였다. 그러므로 편역함에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①부처님의 전기를 경(經)으로 하고 전법도생하신 대소승의 경전을 율(緯)로 한다. ②금구말씀을 한 권에 수록하여 광선유포하고자 하는 요구에 의하여 압축적 번역 방법을 채택 ③종교적 숭엄성, 신비성을 받아드려 철리적, 교훈적, 실천적인 교의를 엄밀히 정리 사실 이와 같은 편찬 작업은 대단한 일이었다. 권상로 박사, 김동화 박사 등이 이미 수년 전 부터 준비된 원고에다, 수많은 전공 불교계 인사들의 관심이 높았기에 가능하였으리라 생각한다. 서울 중구 인현동에 법통사라는 법전간행출판사가 있었다. 우리들 편찬 작업을 맡은 주무자들은 아침 일찍부터 저녁 늦게까지 우리말 팔만대장경 간행작업에 매달렸다. 법통사 1층 편집실에는 육법대전을 간행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2층의 다다미방에서는 불교성전 원고정리에 땀을 빼고 있었다. 법통사에서 받는 수당은 많은 도움을 주었다. 기원학사 퇴로당 방에는 고 김인덕, 고 박동기 등 세 명이 입방하였는데, 그때의 수당이 우리의 미대(米代)로 충당되었다. 법정스님의 헌신적 노고와 정열이 이글거리는 고 손창대 씨에 의하여 <우리말 팔만대장경>이라는 무게 있는 불교성전이 출간되었다. 이러한 불사는 상업성이 없는 것이었는데 법통사 문종성 사장의 아름다운 신심을 발하였기에 가능한 것이다.
동국대 명예교수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