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신드롬의 변화(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배영진 작성일11-05-19 16:12 조회4,188회 댓글0건본문
이처럼 박정희 신드롬이 민주정부 시기에 강력하게 부상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진보진영 학자들은 대체로 민주정부가 한국 사회의 미래와 관련하여 성장중심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대안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는다. 김성보 연세대 교수(사학과)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가 곧 그 시절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닐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 교수는 "민주화 이후 독재/민주주의의 이분법이 희석되면서 시민들의 관심이 경제적인 풍요로 이동했다. 그러나 민주정부 시기에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됐다. 그런 배경에서 박 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과 경제성장이 부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정희 신드롬의 유효기간이 무한대는 아니다.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지난해 9월 시사주간지 < 시사인 > 은 역대 대통령 신뢰도 조사를 발표했다. 박 전 대통령은 순위로는 여전히 1위(34.2%)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25.3%)과 김대중 전 대통령(18.2%)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응답자의 34.2%만이 박 전 대통령을 '가장 신뢰하는 대통령'으로 꼽아, 2007년 조사(52.7%)와 2009년 조사(41.8%)에 비해 눈에 띄게 하락했다.
좀더 또렷한 변화의 조짐도 있다. 지난 12일 '더좋은민주주의연구소'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다시 뽑고 싶은 대통령'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990명 중 57.5%가 박정희 전 대통령을 지목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47.4%, 김대중 전 대통령은 39.3%의 지지를 받았다. 연구소의 심상득 연구팀장은 "역대 대통령들을 상대로 한 과거의 조사 결과를 보면, 늘 박 전 대통령이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흐름이 바뀌었다. 이번 조사에서 노무현·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의 지지도를 합치면 박 전 대통령을 넘어선다"고 말했다. 무슨 의미일까. 심 연구팀장은 "박정희식 발전국가 패러다임이 드디어 한계에 부닥치면서 시민들이 한국 사회의 미래 비전을 이제 진보와 복지에서 찾고 있다는 방증일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희 신드롬의 유효기간이 무한대는 아니다.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지난해 9월 시사주간지 < 시사인 > 은 역대 대통령 신뢰도 조사를 발표했다. 박 전 대통령은 순위로는 여전히 1위(34.2%)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25.3%)과 김대중 전 대통령(18.2%)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응답자의 34.2%만이 박 전 대통령을 '가장 신뢰하는 대통령'으로 꼽아, 2007년 조사(52.7%)와 2009년 조사(41.8%)에 비해 눈에 띄게 하락했다.
좀더 또렷한 변화의 조짐도 있다. 지난 12일 '더좋은민주주의연구소'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다시 뽑고 싶은 대통령'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990명 중 57.5%가 박정희 전 대통령을 지목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47.4%, 김대중 전 대통령은 39.3%의 지지를 받았다. 연구소의 심상득 연구팀장은 "역대 대통령들을 상대로 한 과거의 조사 결과를 보면, 늘 박 전 대통령이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흐름이 바뀌었다. 이번 조사에서 노무현·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의 지지도를 합치면 박 전 대통령을 넘어선다"고 말했다. 무슨 의미일까. 심 연구팀장은 "박정희식 발전국가 패러다임이 드디어 한계에 부닥치면서 시민들이 한국 사회의 미래 비전을 이제 진보와 복지에서 찾고 있다는 방증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