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교육] 한민족 건강 체조법 > 공지사항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공지사항

공지사항

안내 [무료교육] 한민족 건강 체조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한불청지기 작성일19-04-24 12:58 조회4,407회 댓글0건

본문

 

한민족 건강 체조법을 안내해드립니다.

본 체조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신 지구지회에서는 아래의 번호로 문의바랍니다.

현일환 자원봉사센터장 010-6353-3842 

 

 

한민족 건강 체조법

 

-      활인심방과 전통 기공을 중심으로


-      모든 동작은 36회 기준이며 때에 따라 횟수를 정함


-      아침에 눈 뜨면서 (누워서) 하는 기공

팔상 눈 기공

손가락 접기 (새끼 손가락부터, 부채 접 듯)

        손과 발로 이불 끌어 안기

 

-      앉아서 하는 기공

손뼉치기 (손바닥, 합곡, 손날, 손등, 깎지, 주먹…)

손바닥 비비기

머리 쓸어 넘기기 (지문 빗질)

눈썹 위, 눈 밑두덩 비비기 태양혈 6초씩 눌러 준다.

천문 열기 (이마) – 가운데서 양 옆으로 ( 손 계란 쥐 듯)

손 비비고 노궁혈로 눈에 기운 넣기

귀 잡아 당기기 , , 아래

귀 반 접기 장 기능 강화

귀 튕기기 귀 반 접고 손가락 튕기기

귀 가위손 잡고 상하 비비기

코 옆 중지로 상하 비비기

입 고치(叩齒) 후 침 삼키기, 천고(天鼓) – 24

인중 누르고 음, , , , – 9초 씩

좌우 옆에서 쓸어준다.

             뒤로, 앞으로 머리 제낀다 (호흡)

             머리 좌우로 돌린다 (호흡)

 

-      기마자세로 하는 기공

어깨 기마자세로 으쓱으쓱 올렸다 내렸다. (호흡)

       양 손을 머리 뒤로 넘겨 견갑골을 친다.

       한 손은 견갑골 위, 다른 한 손은 겨드랑이 아래를 친다.

가슴, 허리

       한 쪽 손 들어 겨드랑이 아래 반대 손으로 치기

       한 손 뒤로 명문혈을 다른 한 손은 반대편 가슴을 친다. (폐 강화) -

       숨 길게 들이 마시고 5회 실시 후 내쉰다.

복부 방광 (아랫 배), 뒤 명문혈

       단천 치기 (양 손 모아)

허리 양 쪽 위, 아래로 쓸어준다.

       허리에서 배 앞쪽으로 쓸어준다.

손 바닥으로 어깨, 팔뚝, 손쪽으로 친다. (, )

다리 사방으로 두드린다.

무릎 슬관절을 바깥쪽, 안쪽으로 돌리기

마무리 손으로 엉덩이부터 인대까지 쓸어 내리면서 ( 숨 내쉬고 )

         종아리 잡고 아킬레스건 잡고              ( 숨 더 내귀고 )

         엄지로 태충혈 누르면서                   ( 숨 끝 내쉬기 )

         손가락 깎지 끼고 검지 총 상태에서        ( 숨 들이 쉬기)

         일어나 뒤로 넘기면서 활개친다.

 

중화탕(中和湯) 30가지의 마음의 자세를 잘 섞어 만든무형의약재입니다.
마음의 자세를 약재에 빗댄 것입니다. 기막힌 심리 치료제였던 것입니다.

1) 사무사(思無邪, 마음에 거짓을 없앨 것),
2)
행호사(行好事, 좋을 일을 행할 것),
3)
막기심(莫欺心, 마음에 속임이 없을 것),
4)
행방편(行方便, 필요한 방법을 잘 선택할 것),
5)
수본분(守本分, 자신의 직분에 맞게 할 것),
6)
막질투(莫嫉妬, 시기하고 샘내지 말 것),
7)
제교사(除狡詐, 간사하고 교활하지 말 것),
8)
무성실(務誠實, 성실히 행할 것),
9)
순천도(順天道, 하늘의 이치를 따를 것),
10)
지명한(知命限, 타고난 수명의 한계를 알 것),
11)
청심(淸心,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할 것),
12)
과욕(寡慾, 욕심을 줄일 것),
13)
인내(忍耐, 잘 참고 견딜 것),
14)
유순(柔順, 부드럽고 순할 것),
15)
겸화(謙和, 겸손하고 화목할 것),
16)
지족(知足, 만족함을 알 것),
17)
염근(廉謹, 청렴하고 삼갈 것),
18)
존인(存仁, 마음이 항상 어질 것),
19)
절검(節儉, 아끼고 검소할 것),
20)
처중(處中, 한쪽에 치우치지 말고, 조화할 것),
21)
계살(戒殺, 살생을 경계할 것),
22)
계로(戒怒, 성냄을 경계할 것),
23)
계포(戒暴, 거칠게 행하지 말 것),
24)
계탐(戒貪, 탐욕을 경계할 것),
25)
신독(愼獨, 신중히 생각하고 독실하게 행할 것),
26)
지기(知機, 사물의 기틀을 알 것),
27)
보애(保愛, 사랑을 견지할 것),
28)
염퇴(恬退, 물러서야 할 때, 담담히 물러날 것),
29)
수정(守靜, 고요함을 지킬 것),
30)
음즐(陰櫛, 은연중에 덕이나 은혜를 베풀 것)


 화기환(和氣丸)”은 참을 인()자로 만든 환약입니다.


참을성을 가지는 것은 그저 꾹꾹 누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스림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라 합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