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야심경 ] 반야심경의 불교사상적 위치 > 장경각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장경각

장경각

[ 반야심경 ] 반야심경의 불교사상적 위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09-11-16 13:53 조회5,305회 댓글0건

본문

모든 공부든 처음이 어렵고 딱딱한 법이네요.
반야심 경을 바로 해설하면 좋겠는데
그래 도 반야심경과 그 사상에 대한 전체적인 개관을 풀어 놓으면
조금 딱딱하고 지루하긴 해도 더 이해가 쉽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반야 심경』의 내용을 공부하기에 앞서,
이 경 (經)이 지니고 있는
불교 사상사적(思想史的) 위치를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상사 라고 하는 말은,
같은 부처님의 가르침이지만,
역사를 내려오면서 어떤 부분을 강조하였는가,
어떠한 경전을 근본으로 하고 있는가에 따라
약간씩 그 교설의 초점이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반야심경』의 사상사적 위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불교 사상’과 ‘불교 경전’은 어떤 다른 점이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할 것입니다.


불교의 역사를 사상사적으로 분류해 보면,
크게 근본불교[일명 원시_불교],
아비달마 불교[일명 부파불교, 소승불교],
대승불교 정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대승불교는 다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 그리고 한국불교의 사상사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인도 불교 사상에는,
중관 (中觀), 유식(唯識), 여래장(如來藏), 밀교(密敎)사상 등이 있으며,
중국 불교 사상에는
천태 (天台), 화엄(華嚴), 선(禪), 정토(淨土) 사상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각기 분류되는 불교 사상은,
나름대로 하나의 소의(所依) 경전을 가지고 체계를 잡거나,
여러 경전 가운데 중요하고 비슷한 사상들을 모아
하나의 사상으로 체계를 잡는 형식으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예를 들면,
근본불교 사상은 『아함경』을 위주로 하고,
반야 공(空) 사상은 『반야경』을,
유식 사상은 『해심밀경』『입능가경』『섭대승론』 등을,
여래 장사상은 『여래장경』, 『열반경』 등을,
밀교 사상은 『대일경』, 『금강정경』을,
천태 사상은 『법화경』을,
정토 사상은 『무량수경』『관무량수경』『아미타경』을
각각 그 사상의 소의 경전으로 삼고 있는 것입니다.


이 말은 다시 말하면,
불교의 사상과 경전이 직접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만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 다.
사상이라는 것은,
경전을 토대로 하여 핵심이 되는 경전의 가르침을
후대 사람들이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후에 언급할 공 사상, 중관 사상은
대승불교의 근본 경전인 『반야경』을 토대로 성립된 사상인 것입니다.


불교 사상을 내용적으로 다시 살펴 보면,



근본불교 사상의 경우,
부처님께서 직접 설하신 가르침이
입에서 입으로 전승해 내려오던 것을 이후의 제자들이 문자화시켰는데,
이를 『아함경』이라 하여, 그 소의 경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부파불교 사상은
근본불교의 사상에 대해서 나름대로 해석을 붙이거나
보다 심오하게 연구하여 세운 교학 사상을 말합니다.


이후 재가 신자와 찬불승(讚佛僧)들이 중심이 되어
너무 현학적인 교학 연구에만 치중하는 부파불교 논사들을
‘소승 (小乘)’이라 폄하시키고, 스스로를 ‘대승(大乘)’이라 하여,
‘상구 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하는
이타적인 교학 사상을 성립시키게 되었던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대승불교 사상이 성립될 수 있었던 시점은,
대승불교의 여러 경전이 대두되면서부터입니다.


대승불교의 경전 중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경전으로,
『반야 경(般若經)』, 『화엄경(華嚴經)』, 『법화경(法華經)』, 유마경(維摩經)』,
『무량 수경(無量壽經)』, 『아미타경(阿彌陀經)』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모든 경전의 사상적 기반이 되며,
대승불교의 선구적 역할을 한 경전이 바로 『반야경(般若經)』인 것입니다.


『반야 경』이 없었다면,
대승불교의 태동은 생각해 볼 수조차 없었을 것입니다.
이렇듯, 『반야경』은 사상사적으로
불교사의 커다란 축을 이루고 있을 뿐 아니라,
양적으로도 총 600 권이나 되는 방대한 분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방대한 『반야경』 속에,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금강경(金剛經)』이나 『반야심경(般若心經)』이
들어있는 것입니다.
『금강 경』은 『반야경』의 앞부분에 속해 있으며,
『반야 심경』은 뒷부분에 들어 있습니다.
이 두 경전은 600 권이나 되는 『반야경』의
핵심만을 간추려 요약한 경전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 중 에서도, 『반야심경』은
260 자 (字)라는 짧은 글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