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야심경 ] 부증불감(不增不減) > 장경각

사이트 내 전체검색

모두가 함께 꿈을 이루어가는 청년 부처님의 세상
장경각

장경각

[ 반야심경 ] 부증불감(不增不減)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09-11-16 14:12 조회5,067회 댓글1건

본문

마지막으로,
공의 모습은 ‘늘지도 않고 줄지도 않는다’는
부증불감의 속성이 있습니다.

이것은 다시 말해,
현상계의 물질, 정신적 모든 존재는
양(量)적으로 상대적인 개념을 초월하여 무한한 존재로서,
원만 구족한 성질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존재는 그 자체로서 이미 원만 구족되어 있으나,
우리의 분별심이 부족하고 적다고 생각하는
잘못된 차별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물질적인 면을 봅시다.
본래 물질에는 내 것, 네 것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가 스스로,
‘이것은 내 것’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울타리를 치고 있기에,
그 울타리 안에 있는 것만 내 것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내 것을 누군가에게 보시하면 아깝고,
손해 보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보시를 하게 되면
그만큼 나에게 복덕이 쌓이게 된다는 것은 모릅니다.

보시를 많이 한 사람은 물질적으로 항상 부유합니다.
다른 이를 위한 이타심을 내어
올바로 회향할 수 있는 마음이 있기에,
인연 따라 법계를 떠돌아다니는 물질들이
많이 모여들게 마련인 것입니다.

연못에 물이 그저 고여만 있어 빠지지 않는다면
새로운 물이 들어올 수 없습니다.
그러나 흐르는 물은 항상 새로운 물로 가득 차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보시에 인색한 사람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를 가난으로 내몰고 있는 것입니다.
무소유가 전체를 소유하는 것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외면한 채 살아가는 삶이
바로 우리들의 어리석은 모습입니다.

무소유를 통해 전체를 소유한다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가진, 모든 존재가 가진 본성의 원만 구족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돈도 마찬가지입니다.
돈이 많은 사람은 모두
행복하고, 부유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돈의 많고 적음이 그를 부유하고 가난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족하는 삶을 사는가, 아니면 욕심 내는 삶을 사는가,
이 마음 자세가 우리를 가난하게 혹은 부유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본래 우리의 마음은 재산 하나 없이도
당당히 살아나갈 수 있는 원만 구족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마음이 풍족하면 그만입니다.
‘나다’, 혹은 ‘너다’ 하고,
너와 나를 갈라놓고 나만을 위해 살아가는
아상(我相), 아집(我執) 때문에 ‘내 것’이라는 관념이 생긴 것입니다.

아상이 없는 곳에 네 것, 내 것은 없습니다.
내가 없는 마당에 어디 내 것이라는 소유 관념이 붙을 수 있겠습니까?
아상을 깨고 보면 ‘내 것’이 사라집니다.
‘내 것’이 사라졌을 때
이 우주 법계의 모든 것이 다 ‘내 것’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 백만 원의 돈이 있다고 합시다.
이 돈은 많은 돈입니까, 아니면 적은 돈입니까?
대답하자면 많지도, 그렇다고 적지도 않은 돈이겠지요.
즉, 어떤 이에게는 많은 돈이며,
어떤 이에게는 적은 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백 만원을 가지고, 평범한 우리는 얼마나 행복해 할 수 있습니까?
그러나, 재벌들에게 백만 원의 돈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 하는 작은 돈일 수 있습니다.
본래 백 만원이란 돈에, 많다, 혹은 적다라는
고정된 개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 백만 원은,
한없이 가난한 인도나 북한의 불쌍한 가정에서라면,
수억 원과도 맞먹는 값어치가 있으며,
대재벌에게 있어서라면 우리가 생각하는
몇천 원, 몇만 원과도 같은 돈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같은 백만 원이지만
인연 따라, 어떠한 이에게 주어지는가에 따라
한없는 양의 돈이 되어 늘어날 수도 있으며,
반면에 줄어들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의 마음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늘고 주는 것이지,
백 만원이라는 돈 자체에 어떤 증감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연기법의 세계에서 본다면,
공성의 세계에서 본다면,
부증불감인 것입니다.

이렇듯, ‘내 것’이라는 소유도,
부증불감의 세계에서, 공의 측면에서 보면,
증감이 있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좀 더 넓게 보아 내 것이 사라진다는 것은
다른 이의 것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전체에서 본다면 부증불감인 것이지요.

좀 더 쉬운 비유를 든다면,
내가 돈 만 원을 가지고 있을 때,
오천 원을 배우자에게 준다면
내 돈은 줄어들었지만, 배우자의 입장에서는 돈이 늘어난 것입니다.
즉, 우리 가족 전체로 본다면 부증불감입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나와 배우자를 가르는 마음이 있다면
당연히 증감이 있게 마련이며,
배우자에게 오천 원을 주었을 때 괴롭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배우자와 나를 가르는 마음이 없습니다.
둘은 하나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바로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해선님의 댓글

해선 작성일

***


(03144)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T. 02)738-1920F. 02)735-2707E-mail. kyba1920@hanmail.net

COPYRIGHT ⓒ 2017 (사)대한불교청년회. ALL RIGHTS RESERVED.